* 바닥용 수장재 수량산출
- 아스팔트타일 : 5%
- 리놀륨타일 : 5%
- 비닐타일 : 5%
- 고무타일 : 5%
- 리놀륨 : 5%
- 아스팔트타일 : 0.39 ~ 0.45(kg)
- 리놀륨타일 : 0.39 ~ 0.45(kg)
- 비닐타일 : 0.24 ~ 0.31(kg)
- 고무타일 : 0.34(kg)
- 리놀륨 : 0.4(kg)
- 카펫 : 0.1(kg)
* 벽용 수장재 수량산출
- 합판(수장용) : 5%
- 목재(판재) : 10%
- 석고판(붙임용) : 5%
- 석고판(본드접착용) : 8%
- 벽체(천장) 판붙임 : 못 0.04kg
- 목재 걸레받이 : 못 0.004kg 접착제 0.27kg
- 비닐재 걸레받이 : 접착제 0.022kg
* 천장용 수장재 수량산출
- 합판 : 5%
- 아코스틱 텍스 : 5%
- 코르크판 : 5%
- 석고판(붙임용) : 5%
- 석고판(본드접착용) : 8%
- 석고판(못) : 0.035(kg)
- 아코스틱 텍스(못) : 0.035(kg)
- 석고판(석고본드) : 2.43(kg)
- 코르크판(접착제) : 0.27(kg)
* 단열재 수량산출
- 합발포폴리스틸렌 : 10%
- 암면판 : 10%
- 유리면 : 10%
- 우레아폼 : 3%
* 도배 수량산출
- 초배지 : 1.2㎡
- 재배지 : 1.2㎡
- 벽지, 반자지 : 1.2㎡
- 장판지 : 1.1㎡
- 창호지(97cm x 55cm) : 2매(장)
2012년 6월 28일 목요일
14. 적산 페인트공사
* 칠면적 배수표
목재변 - 양판문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3.0 ~ 4.0) 문틀, 문선 포함
플러시문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2.7 ~ 3.0) 문틀, 문선 포함
미세기창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1.1~ 1.7) 문틀, 문선, 창선반 포함
철재변 - 철문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2.4 ~ 2.6) 문틀, 문선 포함
새시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1.6 ~ 2.0) 문틀, 창선반 포함
셔터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2.6~ 4.0) 박스 포함
징두리판벽, 두겁대, 걸레받이 : (바탕면적) x (1.5 ~ 2.5)
철계단(양면칠) : (경사면적) x (3.0~ 5.0)
파이프 난간(양면칠) : (난간면적) x (0.5~ 1.0)
목재변 - 양판문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3.0 ~ 4.0) 문틀, 문선 포함
플러시문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2.7 ~ 3.0) 문틀, 문선 포함
미세기창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1.1~ 1.7) 문틀, 문선, 창선반 포함
철재변 - 철문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2.4 ~ 2.6) 문틀, 문선 포함
새시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1.6 ~ 2.0) 문틀, 창선반 포함
셔터(양면칠) : (안목면적) x (2.6~ 4.0) 박스 포함
징두리판벽, 두겁대, 걸레받이 : (바탕면적) x (1.5 ~ 2.5)
철계단(양면칠) : (경사면적) x (3.0~ 5.0)
파이프 난간(양면칠) : (난간면적) x (0.5~ 1.0)
13. 적산 목공사
* 기준체적(㎥, 才)
1㎥ = 1m x 1m x 1m
1사이(才) = 1치 x 1치 x 12자
= 30 x 30 x 3,600 (단위 : mm)
* 수량산출 방법
㎥ = a x b x l (단위 : m)
才 = 1치 x 1치 x 12자 / a(치) x b(치) x l(자)
* 목재량 : 수직재 + 수평재
1㎥ = 1m x 1m x 1m
1사이(才) = 1치 x 1치 x 12자
= 30 x 30 x 3,600 (단위 : mm)
* 수량산출 방법
㎥ = a x b x l (단위 : m)
才 = 1치 x 1치 x 12자 / a(치) x b(치) x l(자)
* 목재량 : 수직재 + 수평재
12. 적산 조적공사
* 벽두께에 따른 단위수량 (단위 : 장)
- 표준형(190 x 90 x 57)
0.5B : 75 / 1.0B : 149 / 1.5B : 224 / 2.0B : 298
- 기존형(210 x 100 x 60)
0.5B : 765 / 1.0B : 130 / 1.5B : 195 / 2.0B : 260
- 내화
0.5B : 59 / 1.0B : 118 / 1.5B : 177 / 2.0B : 236
( 벽 면적 1㎡ 당 줄눈 나비는 10㎜ 할증률 : 붉은 벽돌.내화벽돌 = 3% , 시멘트 벽돌 = 5% )
* 벽돌량 : 벽돌량 = 벽면적 X 면적당 단위 수량(장,매)
* 벽면적 : 벽면적 = (벽길이 X 벽높이) - (개구부 면적)
* 모르타르 량 = 벽돌의 정미량/1,000 X 단위수량 (㎥)
* 모르타르 량 (단위:㎥, 벽돌 1,000장 당)
- 표준형(190 x 90 x 57)
0.5B : 0.25 / 1.0B : 0.33 / 1.5B : 0.35 / 2.0B : 0.36
- 기존형(210 x 100 x 60)
0.5B : 0.3 / 1.0B : 0.37 / 1.5B : 0.4 / 2.0B : 0.42
* 블록량 = 벽면적 X 단위수량(장,매)
* 단위수량
- 기본형 블록량(장) 13 : 390 x 190 x 210
390 x 190 x 190
390 x 190 x 150
390 x 190 x 100
- 장려형 블록량(장) 17 : 290 x 190 x 190
290 x 190 x 150
290 x 190 x 100
* 타일량 = 시공면적 X 단위수량(장)
* 일반타일 단위수량 = (1m/(타일 한 변의 크기 + 줄눈)) x (1m/(타일 한 변의 크기 + 줄눈))(장)
* 인부수 = 바닥면적 x 면적당 인부수
* 도장공 = 바닥면적 x 면적당 도장공
* 접착제 = 바닥면적 x 면적당 접착제량
- 표준형(190 x 90 x 57)
0.5B : 75 / 1.0B : 149 / 1.5B : 224 / 2.0B : 298
- 기존형(210 x 100 x 60)
0.5B : 765 / 1.0B : 130 / 1.5B : 195 / 2.0B : 260
- 내화
0.5B : 59 / 1.0B : 118 / 1.5B : 177 / 2.0B : 236
( 벽 면적 1㎡ 당 줄눈 나비는 10㎜ 할증률 : 붉은 벽돌.내화벽돌 = 3% , 시멘트 벽돌 = 5% )
* 벽돌량 : 벽돌량 = 벽면적 X 면적당 단위 수량(장,매)
* 벽면적 : 벽면적 = (벽길이 X 벽높이) - (개구부 면적)
* 모르타르 량 = 벽돌의 정미량/1,000 X 단위수량 (㎥)
* 모르타르 량 (단위:㎥, 벽돌 1,000장 당)
- 표준형(190 x 90 x 57)
0.5B : 0.25 / 1.0B : 0.33 / 1.5B : 0.35 / 2.0B : 0.36
- 기존형(210 x 100 x 60)
0.5B : 0.3 / 1.0B : 0.37 / 1.5B : 0.4 / 2.0B : 0.42
* 블록량 = 벽면적 X 단위수량(장,매)
* 단위수량
- 기본형 블록량(장) 13 : 390 x 190 x 210
390 x 190 x 190
390 x 190 x 150
390 x 190 x 100
- 장려형 블록량(장) 17 : 290 x 190 x 190
290 x 190 x 150
290 x 190 x 100
* 타일량 = 시공면적 X 단위수량(장)
* 일반타일 단위수량 = (1m/(타일 한 변의 크기 + 줄눈)) x (1m/(타일 한 변의 크기 + 줄눈))(장)
* 인부수 = 바닥면적 x 면적당 인부수
* 도장공 = 바닥면적 x 면적당 도장공
* 접착제 = 바닥면적 x 면적당 접착제량
11. 적산 가설공사
* 내부 비계면적 = 연면적 x 0.9 (㎡ )
* 외부 비계면적(A) = 비계의 외주길이 x 건물의 높이
- 비계 외주길이 = 건물 외주길이 x 늘어나 비계길이
- 늘어난 비계길이 = 8(개소) x 이격거리 (D)
H : 건축물의 높이 / L : 비계의 외주길이
- 외줄비계.겹비계 : A = {L + 8 x 0.45 } x H
- 쌍줄비계 : A = {L + 8 x 0.9 } x H
- 단관.틀비계 : A = {L + 8 x 1 } x H
* 외부 비계면적(A) = 비계의 외주길이 x 건물의 높이
- 비계 외주길이 = 건물 외주길이 x 늘어나 비계길이
- 늘어난 비계길이 = 8(개소) x 이격거리 (D)
H : 건축물의 높이 / L : 비계의 외주길이
- 외줄비계.겹비계 : A = {L + 8 x 0.45 } x H
- 쌍줄비계 : A = {L + 8 x 0.9 } x H
- 단관.틀비계 : A = {L + 8 x 1 } x H
10. 적산 총론
* 적산에서는 명세적산과 개산적산이 있다.
공사량, 공사비 등을 산출하는 기준이다.
* 적산은 그 내용에 의해 분류하면 명세적산과 개산적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.
도면 및 시방서에 의하여 그 공사에 필요한 직접공사비, 간접공사비등을 산출하는 기술적 행위다.
* 적산은 공사에 필요한 재료, 품의 수량, 즉 공사량을 산출하는 기술활동이며
견적은 그 공사량에 단가를 곱하여 공사비를 산출하는 기술활동이다.
* 개산견적을 단위기준에 의한 분류
1. 단위면적에 의한 견적
2. 단위체적에 의한 견적
3. 단위설비에 의한 견적
* 적산
1. 시공순서대로 계산한다.
2. 내부에서 외부로 계산한다.
3. 수평에서 수직으로 계산한다.
4. 단위세대에서 전체로 계산한다.
* 각재의 수량은 보재의 총길이로 계산하되, 이음 길이와 토막 남김을 고려하여 5%를 증산하며,
합판은 총 소요면적을 한 장의 크기로 나누어 계산한다. 일반용은 3%, 수장용은 5%를 할증
적용한다.
* 재료의 할증률
1. 3% - 붉은 벽돌, 바닥타일
2. 5% - 목재, 수장재, 시멘트벽돌
3. 4% - 블록
4. 10% - 단열재
* 공사비의 구성 중 직접공사비의 산출항목 종류는 재료비, 노무비, 외주비, 경비로 구성된다.
* 공사비는 공사원가, 부가이윤, 일반관리비 분담금으로 분류된다.
* 공사원가는 순공사비, 현장경비로 분류된다.
* 순공사비는 직접공사비와 간접공사비료 분류된다.
공사량, 공사비 등을 산출하는 기준이다.
* 적산은 그 내용에 의해 분류하면 명세적산과 개산적산으로 분류할 수 있다.
도면 및 시방서에 의하여 그 공사에 필요한 직접공사비, 간접공사비등을 산출하는 기술적 행위다.
* 적산은 공사에 필요한 재료, 품의 수량, 즉 공사량을 산출하는 기술활동이며
견적은 그 공사량에 단가를 곱하여 공사비를 산출하는 기술활동이다.
* 개산견적을 단위기준에 의한 분류
1. 단위면적에 의한 견적
2. 단위체적에 의한 견적
3. 단위설비에 의한 견적
* 적산
1. 시공순서대로 계산한다.
2. 내부에서 외부로 계산한다.
3. 수평에서 수직으로 계산한다.
4. 단위세대에서 전체로 계산한다.
* 각재의 수량은 보재의 총길이로 계산하되, 이음 길이와 토막 남김을 고려하여 5%를 증산하며,
합판은 총 소요면적을 한 장의 크기로 나누어 계산한다. 일반용은 3%, 수장용은 5%를 할증
적용한다.
* 재료의 할증률
1. 3% - 붉은 벽돌, 바닥타일
2. 5% - 목재, 수장재, 시멘트벽돌
3. 4% - 블록
4. 10% - 단열재
* 공사비의 구성 중 직접공사비의 산출항목 종류는 재료비, 노무비, 외주비, 경비로 구성된다.
* 공사비는 공사원가, 부가이윤, 일반관리비 분담금으로 분류된다.
* 공사원가는 순공사비, 현장경비로 분류된다.
* 순공사비는 직접공사비와 간접공사비료 분류된다.
09. 내장
* 실내면 시공순서
천장 > 벽 > 바닥
* 벽이나 천장판에 붙이는 재료 종류
1. 합판 2. 석고보드 3. 텍스 4. 목모 시멘트판 5. 테라코타
* 방수방법
1. 아스팔트 방수 2. 시멘트 액체(모르타르) 방수 3. 도막 방수 4. 시트 방수
* 방음재료 : 어코스틱 타일, 목재 루버, 구멍합판
* 단열재 조건
1. 비중이 작다.
2. 내화성이 있다.
3. 어느 정도 기계적 강도가 있어야 한다.
4. 흡수율이 작다.
* 석면 : 사문석과 각섬석을 이용하여 만들고, 실끈, 지포, 등으로 제작하여 시멘트와 혼합한
후판재 또는 관을 만든다.
* 암면 : 현무암과 안산암 등을 이용하여 만들고 접착제를 혼합, 성형하여 판 또는 원통으로 만들어
표면에 아스팔트 펠트 등을 붙여서 사용한다.
* 석고보드의 사용용도에 따른 분류
1. 일반석고 보드 2. 방화석고 보드 3. 방수석고 보드 4. 미장석고 보드
* 석고보드 이음새 시공순서
바탕처리 > 하도 > Tape 붙이기 > 중도 > 상도 > 샌딩
* 합판 : 3매 이상의 단판을 1매 마다 섬유 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눌러 붙인 것
* 화이버보드 : 식물 섬유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섬유화, 펄프화하여 접착제를 섞어 판으로 만든 것
* 코르크판 : 표면은 평평하고 유공질 판이어서 단열관, 열 절연재로 사용
* 목모 시멘트판 : 목재를 얇은 오리로 만들어 액진을 제거하고, 시멘트로 교착하여 가압 성형한 것
* 경량 철골 천정틀 다는 순서
인서트 매입 > 달대 > 행거 > 경량 구조틀
* 경량 철골 천정틀 설치 시공순서
앵커설치 > 달대설치 > 천정틀설치 > 텍스 붙이기
* 경량 철골 천정틀 붙이기 시공순서
인서트 > 달볼트 > 조절 행거 > 캐링찬넬 > 클립 > MW(MS)BAR > 천정판
* 기능상 벽지 선택시 주의사항
1. 장식기능 2. 내오염성 기능 3. 내구성 기능
* 도배순서
바탕처리 > 풀칠 > 붙이기
초배지 바름 > 재배지 바름 > 정배지 바름
바탕처리 > 초배지 바름 > 재배지 바름 > 정배지 바름
바탕처리 > 초배지 바름 > 재배지 바름 > 정배지 바름 > 굽도리
* 도배지 풀칠방법
1. 봉투 바름 : 종이 주위에 풀칠하여 붙이고, 주름은 물을 뿜어둔다.
2. 온통 바름 : 종이 전부에 풀칠하며, 순서는 중간부터 갓 둘레로 칠해 나간다.
3. 재벌정 바름 : 정배지 바로 밑에 바르며, 밑에서 위로 붙여 올라간다.
* 장판지 붙이기 시공순서
바탕처리 > 초배 > 재배 > 장판지 > 걸레받이 > 마무리칠
바닥정리 > 깔기계획 > 임시깔기 > 정깔기 > 마무리
* 카펫 파일(Pile) 종류
1. 고리(loop) 형태 2. 컷(cut) 형태 3. 고리.컷 형태
* 카펫 깔기 공법
1. 그리퍼 공법 2. 못박기 공법 3. 직접붙이기 공법 4. 필업 공법
* 커튼 주름 방법
1. 홑 주름 2. 겹 주름 3. 3겹 주름 4. 박스형 주름 5. 개더형 주름
* 커튼지를 선택시 주의사항
1. 천의 특성과 시각적 효과를 생각한다.
2. 세탁 후 형의 변화나 치수 변화가 없어야 한다.
3. 탈색이 되지 않아야 한다.
4. 불연재를 선택하도록 한다.
* 커튼 레일의 부속품
1. 러너 2. 브래킷 3. 스토퍼 4. 후크
* 블라인드 종류
1. 수직 블라인드 2. 수평 블라인드 3. 롤 블라인드 4. 로만 블라인드
* 지붕재료 : 필름코러스
공기조절 : 벤틸레이터
바닥 바름 : 에폭시
* 도듬문 : 문울거미를 남겨두고 두꺼운 종이로 바른 문
풀귀얄 : 도배시 풀칠하는 솔(돼지털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.)
맹장지 : 도드문 등에 바르는 종이
불발기 : 맹장지를 바른 중앙부분 등에 창살을 대고 창호지를 바른 형태의 창이나 문
* 건축재료인 석고보드의 장점과 단점
장점 : 1. 내화성이 크고, 차음성.단열성이 있다.
2. 경량이 신축성이 거의 없다.
3. 가공이 용이하다.
4. 설치 후 도료로 도포할 수 있다.
단점 : 1. 강도가 약하다.
2. 파손의 우려가 있다.
3. 습윤에 약하다.
* 석고보드 시공시 주의 사항
1. 이음매 처리 작업 전에 필히 못이나 나사못 머리가 보드 표면과 일치 되었는가 확인한다.
2. 컴파운드를 너무 두껍게 바르면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.
천장 > 벽 > 바닥
* 벽이나 천장판에 붙이는 재료 종류
1. 합판 2. 석고보드 3. 텍스 4. 목모 시멘트판 5. 테라코타
* 방수방법
1. 아스팔트 방수 2. 시멘트 액체(모르타르) 방수 3. 도막 방수 4. 시트 방수
* 방음재료 : 어코스틱 타일, 목재 루버, 구멍합판
* 단열재 조건
1. 비중이 작다.
2. 내화성이 있다.
3. 어느 정도 기계적 강도가 있어야 한다.
4. 흡수율이 작다.
* 석면 : 사문석과 각섬석을 이용하여 만들고, 실끈, 지포, 등으로 제작하여 시멘트와 혼합한
후판재 또는 관을 만든다.
* 암면 : 현무암과 안산암 등을 이용하여 만들고 접착제를 혼합, 성형하여 판 또는 원통으로 만들어
표면에 아스팔트 펠트 등을 붙여서 사용한다.
* 석고보드의 사용용도에 따른 분류
1. 일반석고 보드 2. 방화석고 보드 3. 방수석고 보드 4. 미장석고 보드
* 석고보드 이음새 시공순서
바탕처리 > 하도 > Tape 붙이기 > 중도 > 상도 > 샌딩
* 합판 : 3매 이상의 단판을 1매 마다 섬유 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눌러 붙인 것
* 화이버보드 : 식물 섬유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섬유화, 펄프화하여 접착제를 섞어 판으로 만든 것
* 코르크판 : 표면은 평평하고 유공질 판이어서 단열관, 열 절연재로 사용
* 목모 시멘트판 : 목재를 얇은 오리로 만들어 액진을 제거하고, 시멘트로 교착하여 가압 성형한 것
* 경량 철골 천정틀 다는 순서
인서트 매입 > 달대 > 행거 > 경량 구조틀
* 경량 철골 천정틀 설치 시공순서
앵커설치 > 달대설치 > 천정틀설치 > 텍스 붙이기
* 경량 철골 천정틀 붙이기 시공순서
인서트 > 달볼트 > 조절 행거 > 캐링찬넬 > 클립 > MW(MS)BAR > 천정판
* 기능상 벽지 선택시 주의사항
1. 장식기능 2. 내오염성 기능 3. 내구성 기능
* 도배순서
바탕처리 > 풀칠 > 붙이기
초배지 바름 > 재배지 바름 > 정배지 바름
바탕처리 > 초배지 바름 > 재배지 바름 > 정배지 바름
바탕처리 > 초배지 바름 > 재배지 바름 > 정배지 바름 > 굽도리
* 도배지 풀칠방법
1. 봉투 바름 : 종이 주위에 풀칠하여 붙이고, 주름은 물을 뿜어둔다.
2. 온통 바름 : 종이 전부에 풀칠하며, 순서는 중간부터 갓 둘레로 칠해 나간다.
3. 재벌정 바름 : 정배지 바로 밑에 바르며, 밑에서 위로 붙여 올라간다.
* 장판지 붙이기 시공순서
바탕처리 > 초배 > 재배 > 장판지 > 걸레받이 > 마무리칠
바닥정리 > 깔기계획 > 임시깔기 > 정깔기 > 마무리
* 카펫 파일(Pile) 종류
1. 고리(loop) 형태 2. 컷(cut) 형태 3. 고리.컷 형태
* 카펫 깔기 공법
1. 그리퍼 공법 2. 못박기 공법 3. 직접붙이기 공법 4. 필업 공법
* 커튼 주름 방법
1. 홑 주름 2. 겹 주름 3. 3겹 주름 4. 박스형 주름 5. 개더형 주름
* 커튼지를 선택시 주의사항
1. 천의 특성과 시각적 효과를 생각한다.
2. 세탁 후 형의 변화나 치수 변화가 없어야 한다.
3. 탈색이 되지 않아야 한다.
4. 불연재를 선택하도록 한다.
* 커튼 레일의 부속품
1. 러너 2. 브래킷 3. 스토퍼 4. 후크
* 블라인드 종류
1. 수직 블라인드 2. 수평 블라인드 3. 롤 블라인드 4. 로만 블라인드
* 지붕재료 : 필름코러스
공기조절 : 벤틸레이터
바닥 바름 : 에폭시
* 도듬문 : 문울거미를 남겨두고 두꺼운 종이로 바른 문
풀귀얄 : 도배시 풀칠하는 솔(돼지털로 만들어진 것이 좋다.)
맹장지 : 도드문 등에 바르는 종이
불발기 : 맹장지를 바른 중앙부분 등에 창살을 대고 창호지를 바른 형태의 창이나 문
* 건축재료인 석고보드의 장점과 단점
장점 : 1. 내화성이 크고, 차음성.단열성이 있다.
2. 경량이 신축성이 거의 없다.
3. 가공이 용이하다.
4. 설치 후 도료로 도포할 수 있다.
단점 : 1. 강도가 약하다.
2. 파손의 우려가 있다.
3. 습윤에 약하다.
* 석고보드 시공시 주의 사항
1. 이음매 처리 작업 전에 필히 못이나 나사못 머리가 보드 표면과 일치 되었는가 확인한다.
2. 컴파운드를 너무 두껍게 바르면 경화시간이 길어지고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.
08. 도장
* 도장목적
1. 건물의 보호 : 방습, 방충, 방청 등으로 인한 내구성 향상
2. 미적효과 : 색채, 무늬, 광택 등의 미관 향상
3. 성능의 부여 : 내약품성, 전기 절연성, 내수성, 방음성, 방사선 차단등
* 도료 선택시 고려사항
1. 도장하고자 하는 물체의 사용목적
2. 표면의 재료
3. 도장시의 기후조건
4. 경제성
* 가연성 재료의 보관방법
1. 직사광선이 들지 않게 보관
2. 환기가 잘되는 곳에 보관
3. 화기로부터 먼 곳에 보관
4. 밀폐된 용기에 보관
5. 사용한 걸레는 한적한 곳에서 소각처리
* 부착을 저해하거나 부풀음, 터짐 벗겨집의 원인이 되는 요소
1. 유분(기름기) 2. 수분(물기) 3. 진(먹지) 4. 금속 녹
* 유성페인트 도장시 수분이 완전히 증발된 후 칠하는 이유
도료가 바탕에 부착을 저해하거나 부품음, 터짐, 벗겨지는 원인이 된다.
* 수지계 도료 : 셀락바니쉬
* 합성수지 도료 : 페놀수지 도료, 멜라민수지 도료, 염화비닐수지 도료
* 고무계 도료 : 염화고무 도료
* 유성 도료 : 건성유, 조합페인트, 알루미늄 도료
* 섬유계 도료 : 셀롤루스, 래커
* 수성 도료 장점
1. 건조가 비교적 빠르다.
2. 물을 용제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이고 공해가 없다.
3. 알칼리성 재료의 표면에 도포가 가능하다.
4. 도포방법이 간단하고 보관의 제약이 적다.
5. 무광택으로 내수성이 없으므로 실내용으로 주로 사용된다.
* 유성페인트 : 안료, 건성유, 희석제, 건조제를 조합해서 만든다.
* 유성페인트 건조제 : 연단, 염화코발트
*유성페인트 희석제(신전제) 목적
농도를 묽게 하여 솔칠을 좋게 하며 교착이 잘 되게 한다.
* 도료 용제
1. 아마인유 2. 오동유 3. 들기름
* 도료 휘발성 용제
1. 송진 건류품(테레핀유) 2. 석유 건류품(휘발유) 3. 콜타르 증류품(벤졸)
* 바니쉬는 천연수지와 위발성 용제를 섞어 투명 담백한 막으로 되고
기름이 산화되어 휘발성 바니쉬, 기름 바니쉬, 래커 바니쉬로 나뉜다.
* 신너 : 희석제
* 광명단 : 방청제
* 크레오소트 : 방부제
* 오일스테인 : 착색제
* 아마인유 : 용제
* 리사지(lithage) : 건조제
* 테레핀유 : 신전제(희석제)
* 아연화 : 안료
* 합성수지도료장점
1. 도막이 단단하다.
2. 건조가 빠르다.
3. 내마모성이 있다.
4. 내산.내알칼리성이 있다.
* 도장공사
1. 철재에 도장할 때에는 바탕에 광명단을 도포한다.
2. 합성수지 에멀전 페인트는 건조가 빠르다.
3. 알루미늄 페인트는 광선 및 열반사력이 강하다.
4. 에나멜페인트는 주로 금속면에 이용되며 광택이 잘난다.
* 철재 녹막이 칠에 쓰이는 도료
1. 광명단 2. 징크로메이트 3. 알루미늄 도료 4. 아연분말 도료 5. 산화철 녹막이
* 징크로메이트 :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로 사용
* 방화칠의 종류
1. 규산소다 도료 2. 붕산카제인 도료 3. 합성수지 도료(요소수지, 실리콘수지)
* 목부 바탕 만들기 공정순서
오염, 부착물 제거 > 송진처리 > 연마지 닦기 > 옹이 땜 > 구멍 땜
* 수성 페인트 바르는 순서
바탕누름 > 초벌 > 연마지 닦기 > 정벌칠
바탕 만들기 > 바탕누름 > 초벌 > 페이퍼 문지름 > 정벌
* 목재 바니시 칠 공정 순서
바탕처리 > 눈먹임 > 색올림 > 왁스 문지름
* 외부 바니시 칠의 공정순서
바탕손질 > 눈먹임 > 초벌착색 > 연마지 닦기 > 정벌 착색 > 왁스 문지름
* 도장 공사시 스테인 칠의 장점
1. 작업이 용이하다.
2. 색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다.
3. 표면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킨다.
* 건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장공법
1. 솔칠 2. 롤러칠 3. 뿜칠 4. 문지름칠
* 콘크리트 PC판넬의 바탕면에 마감용 합성수지를 바르는 방법
1. 솔칠 2. 롤러칠 3. 뿜칠 4. 래커칠
* 페인트 공사의 뿜칠에는 도장용 스프레이건을 사용하며 노즐 구경은 1.0 ~ 1.2mm가 있으며,
뿜칠의 공기압력은 2~4 kgf/㎠을 표준으로 하고 뿜칠거리는 30㎝를 표준으로 한다.
* 도장공사에서 쓰이는 스프레이건 사용시 주의사항
1. 스프레이 건의 위치는 면에 직각이 되도록 평행으로 이동시키며 운행한다.
2. 뿜칠 거리는 약 30㎝ 정도가 적당하다.
3. 운행시 약 1/3씩 겹쳐서 바르도록 한다.
* 철부 유성페인트 시공순서
바탕조정 > 녹막이 칠 > 연마지 갈기 > 구멍메꿈 > 연마지 갈기 > 재벌칠 > 연마지 갈기 > 정벌칠
* 스티플 칠
표면에 잘잘한 요철 모양이나 질감을 내도록 하는 도장 마감
* 도장공사의 목적
성능성(기능성)부여
- 내약품성, 전기 절연성, 내수성, 방음성, 방사선 차단성 등 특별한 성능(기능)을 부여하는 것
1. 건물의 보호 : 방습, 방충, 방청 등으로 인한 내구성 향상
2. 미적효과 : 색채, 무늬, 광택 등의 미관 향상
3. 성능의 부여 : 내약품성, 전기 절연성, 내수성, 방음성, 방사선 차단등
* 도료 선택시 고려사항
1. 도장하고자 하는 물체의 사용목적
2. 표면의 재료
3. 도장시의 기후조건
4. 경제성
* 가연성 재료의 보관방법
1. 직사광선이 들지 않게 보관
2. 환기가 잘되는 곳에 보관
3. 화기로부터 먼 곳에 보관
4. 밀폐된 용기에 보관
5. 사용한 걸레는 한적한 곳에서 소각처리
* 부착을 저해하거나 부풀음, 터짐 벗겨집의 원인이 되는 요소
1. 유분(기름기) 2. 수분(물기) 3. 진(먹지) 4. 금속 녹
* 유성페인트 도장시 수분이 완전히 증발된 후 칠하는 이유
도료가 바탕에 부착을 저해하거나 부품음, 터짐, 벗겨지는 원인이 된다.
* 수지계 도료 : 셀락바니쉬
* 합성수지 도료 : 페놀수지 도료, 멜라민수지 도료, 염화비닐수지 도료
* 고무계 도료 : 염화고무 도료
* 유성 도료 : 건성유, 조합페인트, 알루미늄 도료
* 섬유계 도료 : 셀롤루스, 래커
* 수성 도료 장점
1. 건조가 비교적 빠르다.
2. 물을 용제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이고 공해가 없다.
3. 알칼리성 재료의 표면에 도포가 가능하다.
4. 도포방법이 간단하고 보관의 제약이 적다.
5. 무광택으로 내수성이 없으므로 실내용으로 주로 사용된다.
* 유성페인트 : 안료, 건성유, 희석제, 건조제를 조합해서 만든다.
* 유성페인트 건조제 : 연단, 염화코발트
*유성페인트 희석제(신전제) 목적
농도를 묽게 하여 솔칠을 좋게 하며 교착이 잘 되게 한다.
* 도료 용제
1. 아마인유 2. 오동유 3. 들기름
* 도료 휘발성 용제
1. 송진 건류품(테레핀유) 2. 석유 건류품(휘발유) 3. 콜타르 증류품(벤졸)
* 바니쉬는 천연수지와 위발성 용제를 섞어 투명 담백한 막으로 되고
기름이 산화되어 휘발성 바니쉬, 기름 바니쉬, 래커 바니쉬로 나뉜다.
* 신너 : 희석제
* 광명단 : 방청제
* 크레오소트 : 방부제
* 오일스테인 : 착색제
* 아마인유 : 용제
* 리사지(lithage) : 건조제
* 테레핀유 : 신전제(희석제)
* 아연화 : 안료
* 합성수지도료장점
1. 도막이 단단하다.
2. 건조가 빠르다.
3. 내마모성이 있다.
4. 내산.내알칼리성이 있다.
* 도장공사
1. 철재에 도장할 때에는 바탕에 광명단을 도포한다.
2. 합성수지 에멀전 페인트는 건조가 빠르다.
3. 알루미늄 페인트는 광선 및 열반사력이 강하다.
4. 에나멜페인트는 주로 금속면에 이용되며 광택이 잘난다.
* 철재 녹막이 칠에 쓰이는 도료
1. 광명단 2. 징크로메이트 3. 알루미늄 도료 4. 아연분말 도료 5. 산화철 녹막이
* 징크로메이트 :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로 사용
* 방화칠의 종류
1. 규산소다 도료 2. 붕산카제인 도료 3. 합성수지 도료(요소수지, 실리콘수지)
* 목부 바탕 만들기 공정순서
오염, 부착물 제거 > 송진처리 > 연마지 닦기 > 옹이 땜 > 구멍 땜
* 수성 페인트 바르는 순서
바탕누름 > 초벌 > 연마지 닦기 > 정벌칠
바탕 만들기 > 바탕누름 > 초벌 > 페이퍼 문지름 > 정벌
* 목재 바니시 칠 공정 순서
바탕처리 > 눈먹임 > 색올림 > 왁스 문지름
* 외부 바니시 칠의 공정순서
바탕손질 > 눈먹임 > 초벌착색 > 연마지 닦기 > 정벌 착색 > 왁스 문지름
* 도장 공사시 스테인 칠의 장점
1. 작업이 용이하다.
2. 색상을 선명하게 할 수 있다.
3. 표면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킨다.
* 건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장공법
1. 솔칠 2. 롤러칠 3. 뿜칠 4. 문지름칠
* 콘크리트 PC판넬의 바탕면에 마감용 합성수지를 바르는 방법
1. 솔칠 2. 롤러칠 3. 뿜칠 4. 래커칠
* 페인트 공사의 뿜칠에는 도장용 스프레이건을 사용하며 노즐 구경은 1.0 ~ 1.2mm가 있으며,
뿜칠의 공기압력은 2~4 kgf/㎠을 표준으로 하고 뿜칠거리는 30㎝를 표준으로 한다.
* 도장공사에서 쓰이는 스프레이건 사용시 주의사항
1. 스프레이 건의 위치는 면에 직각이 되도록 평행으로 이동시키며 운행한다.
2. 뿜칠 거리는 약 30㎝ 정도가 적당하다.
3. 운행시 약 1/3씩 겹쳐서 바르도록 한다.
* 철부 유성페인트 시공순서
바탕조정 > 녹막이 칠 > 연마지 갈기 > 구멍메꿈 > 연마지 갈기 > 재벌칠 > 연마지 갈기 > 정벌칠
* 스티플 칠
표면에 잘잘한 요철 모양이나 질감을 내도록 하는 도장 마감
* 도장공사의 목적
성능성(기능성)부여
- 내약품성, 전기 절연성, 내수성, 방음성, 방사선 차단성 등 특별한 성능(기능)을 부여하는 것
07. 합성수지
* 열가소성수지
1. 아크릴 2. 염화비닐 3. 폴리에틸렌 4. 스티로폴수지 5. 불소수지 6. 초산비닐수지
* 열경화성수지
1. 에폭시수지 2. 멜라민수지 3. 페놀수지 4. 요소수지 5. 실리콘수지 6. 석탄산수지
* 플라스틱재료
장점 : 1. 우수한 가공성으로 성형, 가공이 쉽다.
2. 내구, 내수, 내식성이 강하다.
3. 경량이고 착색이 용이하다.
4. 접착성, 전기 절연성이 있다.
5. 비강도 값이 크다.
단점 : 1. 열에 의한 팽창 수축이 크다.
2. 내마모성과 표면강도가 약하다.
3. 내열성, 내후성이 약하다.
4. 인장강도, 탄성계수가 작다.
* 합성수지(Plastic)의 성형(제조) 방법
1. 합축성형 2. 압출성형 3. 사출성형 4. 주조성형
* 비닐타일 - 수지계
시트 - 고무계
명색계 쿠마론인덴 수지 타일 - 아스팔트계
리놀륨 - 유지계
* 시공온도
1. 열가소성 수지 : 50 ~ 60℃
2. 경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: 80 ~ 100℃
3. 페놀.멜라민 수지 : 100 ~ 120℃
* 동물성 단백질계 접착제 종류
1. 카세인 2. 아교 3. 알부민
* 목재에 사용하는 접착제
1. 카세인 2. 아교 3. 요소수지 4. 페놀수지 5. 멜라민수지
* 접착력이 큰 순서
에폭시수지 > 요소수지 > 멜라민수지 > 초산비닐수지
* 내수성이 큰 순서
실리콘수지 > 에폭시수지 > 페놀수지 > 멜라민수지 > 요소수지 > 아교
* 합성수지계 접착제
1. 요소수지 2. 페놀수지 3. 멜라민수지 4. 에폭시수지
* 접착제 사용시 주의사항
1. 피착제의 표면은 가능한 숩기가 없는 건조한 상태로 한다.
2. 용제, 희석제를 사용할 경우 과도하게 희석시키지 않도록 한다.
3. 용제성의 접착제는 도포 후 용제가 휘발한 적당한 시간에 접착시킨다.
4. 접착 처리 후 일정하 ㄴ시간 동안 접착면을 압축해 접착이 잘 되도록 한다.
* 합성수지(플라스틱)재의 시공시 주의사항
1.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들은 열팽창계수가 크므로 팽창 및 수축의 여유를 고려한다.
2.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들은 열에 따른 정도 변화가 크므로 50℃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.
3. 마감부분에 사용하는 경우 표면에 흠. 얼룩 변형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,
필요에 따라 종이, 천 등으로 보양한다.
4. 양생 후 물, 비눗물, 휘발유 등을 적셔서 깨끗이 청소한다.
1. 아크릴 2. 염화비닐 3. 폴리에틸렌 4. 스티로폴수지 5. 불소수지 6. 초산비닐수지
* 열경화성수지
1. 에폭시수지 2. 멜라민수지 3. 페놀수지 4. 요소수지 5. 실리콘수지 6. 석탄산수지
* 플라스틱재료
장점 : 1. 우수한 가공성으로 성형, 가공이 쉽다.
2. 내구, 내수, 내식성이 강하다.
3. 경량이고 착색이 용이하다.
4. 접착성, 전기 절연성이 있다.
5. 비강도 값이 크다.
단점 : 1. 열에 의한 팽창 수축이 크다.
2. 내마모성과 표면강도가 약하다.
3. 내열성, 내후성이 약하다.
4. 인장강도, 탄성계수가 작다.
* 합성수지(Plastic)의 성형(제조) 방법
1. 합축성형 2. 압출성형 3. 사출성형 4. 주조성형
* 비닐타일 - 수지계
시트 - 고무계
명색계 쿠마론인덴 수지 타일 - 아스팔트계
리놀륨 - 유지계
* 시공온도
1. 열가소성 수지 : 50 ~ 60℃
2. 경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: 80 ~ 100℃
3. 페놀.멜라민 수지 : 100 ~ 120℃
* 동물성 단백질계 접착제 종류
1. 카세인 2. 아교 3. 알부민
* 목재에 사용하는 접착제
1. 카세인 2. 아교 3. 요소수지 4. 페놀수지 5. 멜라민수지
* 접착력이 큰 순서
에폭시수지 > 요소수지 > 멜라민수지 > 초산비닐수지
* 내수성이 큰 순서
실리콘수지 > 에폭시수지 > 페놀수지 > 멜라민수지 > 요소수지 > 아교
* 합성수지계 접착제
1. 요소수지 2. 페놀수지 3. 멜라민수지 4. 에폭시수지
* 접착제 사용시 주의사항
1. 피착제의 표면은 가능한 숩기가 없는 건조한 상태로 한다.
2. 용제, 희석제를 사용할 경우 과도하게 희석시키지 않도록 한다.
3. 용제성의 접착제는 도포 후 용제가 휘발한 적당한 시간에 접착시킨다.
4. 접착 처리 후 일정하 ㄴ시간 동안 접착면을 압축해 접착이 잘 되도록 한다.
* 합성수지(플라스틱)재의 시공시 주의사항
1.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들은 열팽창계수가 크므로 팽창 및 수축의 여유를 고려한다.
2.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들은 열에 따른 정도 변화가 크므로 50℃이상을 넘지 않도록 한다.
3. 마감부분에 사용하는 경우 표면에 흠. 얼룩 변형 등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,
필요에 따라 종이, 천 등으로 보양한다.
4. 양생 후 물, 비눗물, 휘발유 등을 적셔서 깨끗이 청소한다.
06. 금속
* Non Slip : 계단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계단 끝 부분에 설치하는 것.
* Corner bead : 기둥이나 벽 등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는 것.
* expansion bolt : 콘크리트, 벽돌 등의 면에 띠장, 문틀 등의 다른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
묻어 두는 특수 볼트
* insert :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설치하여 반자틀 등을 달아 매고자할 때 볼트 또는 달대의
걸침이 되는 철물
* Dubel : 목재에서 두 재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와 같이 써서 전단에 견디도록 한 보강철물
* 마무리 치수 : 창호재, 가구재에 쓰이는 대패질 마무리한 치수
* 페어 글라스 : 2장의 유리사이에 건조한 공기를 넣은 후 밀봉한 유리
* 드라이비트(dry-vit) 건(gun) : 극소량의 화약으 ㄹ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돌면 등에
특수 못(드라이비트 핀)을 순간적으로 박다대는 공구. 못박기 총.
* 와이어 라스 : 철선을 꼬아 만든 철망
* 펀칭메탈 : 얇은 철판에 각종 모양을 도려낸 것
* 메탈라스 : 얇은 철판에 자른 금을 내어 당겨 늘린 것
* 와이어 매시 : 연강선을 직교시켜 전기 용접한 철선망
* 조이너 : 텍스, 보드, 금속판 등의 이음새에 마감이 보기 좋도록 대어 붙이는 것
* 논 슬립(Non Slip) 고정하기
1. 고정 매입법 2. 나중 매입법 3. 접착제법
* 논 슬립은 계단의 디딤판 끝에 대어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며 계단 폭 끝에서 5cm 정도 떼어
시공하기도 한다.
* 고정 철물 : 인서트, 익스펜션 볼트, 드라이 비트
* 황동 : 동과 아연을 합금하여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크다.
* 청동 : 동과 주석을 합금하여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우수하다.
* 주석 : 전성과 연성이 커서 주소성이 좋으며 청동의 제조에도 이용된다.
* 납 : 금속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크고 연하며 X을 차단하는 성능이 있다.
* 알루미늄 : 경금속으로 은백색의 광택이 있으며 창호 재료로 많이 이용된다.
* 아연 : 강도가 크고 연성 및 내식성이 양호하며 황동의 재료로도 이용된다.
* Corner bead : 기둥이나 벽 등의 모서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대는 것.
* expansion bolt : 콘크리트, 벽돌 등의 면에 띠장, 문틀 등의 다른 부재를 고정하기 위하여
묻어 두는 특수 볼트
* insert : 콘크리트 바닥판 밑에 설치하여 반자틀 등을 달아 매고자할 때 볼트 또는 달대의
걸침이 되는 철물
* Dubel : 목재에서 두 재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와 같이 써서 전단에 견디도록 한 보강철물
* 마무리 치수 : 창호재, 가구재에 쓰이는 대패질 마무리한 치수
* 페어 글라스 : 2장의 유리사이에 건조한 공기를 넣은 후 밀봉한 유리
* 드라이비트(dry-vit) 건(gun) : 극소량의 화약으 ㄹ이용하여 콘크리트 벽돌면 등에
특수 못(드라이비트 핀)을 순간적으로 박다대는 공구. 못박기 총.
* 와이어 라스 : 철선을 꼬아 만든 철망
* 펀칭메탈 : 얇은 철판에 각종 모양을 도려낸 것
* 메탈라스 : 얇은 철판에 자른 금을 내어 당겨 늘린 것
* 와이어 매시 : 연강선을 직교시켜 전기 용접한 철선망
* 조이너 : 텍스, 보드, 금속판 등의 이음새에 마감이 보기 좋도록 대어 붙이는 것
* 논 슬립(Non Slip) 고정하기
1. 고정 매입법 2. 나중 매입법 3. 접착제법
* 논 슬립은 계단의 디딤판 끝에 대어 미끄럼 방지역할을 하며 계단 폭 끝에서 5cm 정도 떼어
시공하기도 한다.
* 고정 철물 : 인서트, 익스펜션 볼트, 드라이 비트
* 황동 : 동과 아연을 합금하여 강도가 크며 내구성이 크다.
* 청동 : 동과 주석을 합금하여 대기 중에서 내식성이 우수하다.
* 주석 : 전성과 연성이 커서 주소성이 좋으며 청동의 제조에도 이용된다.
* 납 : 금속 중에서 가장 비중이 크고 연하며 X을 차단하는 성능이 있다.
* 알루미늄 : 경금속으로 은백색의 광택이 있으며 창호 재료로 많이 이용된다.
* 아연 : 강도가 크고 연성 및 내식성이 양호하며 황동의 재료로도 이용된다.
05. 미장
* 수경성 미장재료
순석고 플라스터, 혼합석고 플라스터, 경석고 플라스터, 시멘트 바름
인조석 바름, 테라죠 바름
* 기경성 미장재료
진흙 바름, 회반죽, 회사벽 바름, 돌로마이트 플라스터, 아스팔트 모르타르, 진흙질, 소석회
* 알칼리성 미장공사 재료
시멘트 모르타르, 돌로마이트 플라스터, 회반죽
* 치장마무리 방법
1. 시멘트 모르타르 2. 회반죽 3.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. 석고 플라스터 5. 인조석 바름
* 회반죽 재료
1. 소석회 2. 모래 3. 여물 4. 해초풀
* 회반죽 해초풀의 역할과 기능
1. 점도 증대 2. 부착력 증대 3. 강도 증대 4. 점도를 높여주어 균열방지
* 미장재료 여물
1. 짚여물 2. 삼여물 3. 종이여물 4. 털여물
* 목조 졸대 바탕의 회반죽 시공순서
반죽처리 > 재료반죽 > 바탕처리 > 수염붙이기 > 초벌바름 > 정벌바름 > 마무리 및 보양
* 석회질 : 기경성이며 수축성이다.
* 석고질 : 수경성이며 팽창성이다.
* 실내 3면의 시공순서는 천장, 벽, 바닥의 시공순서로 공사한다.
* 미장바르기 순서는 위에서 부터 밑의 순으로 한다.
또한 벽타일 붙이기는 밑에서 부터 위의 순으로 한다.
* 시멘트 모르타르의 바름 두께
1. 바닥 : 24mm 2. 안벽 : 18mm 3. 바깥벽 : 24mm 4. 천장 : 15mm
* 미장공사 모르타르 바름순서
1. 바탕청소 > 바탕면 보수 > 우묵한 곳 살 보충하기 > 모서리 및 교차부 바르기 > 넓은 면 바르기
2. 벽 보수하기 > 바탕처리 > 들어간 부분 메우기 > 졸대 세우기 >
벽 천체 넓은 부분 바르기 > 모서리부분 바르기
* 바라이트 : 방사선 차단용으로 시멘트, 바라이트 분말, 모래를 섞어 만든다.
* 라스먹임 : 메탈라스, 와이어라스 등의 바탕에 최초로 발라 붙이는 작업
* 덧먹임 :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, 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는 작업
* 테라조 현장갈기 시공순서
황동줄눈대 대기 > 테라조 종석 바름 > 양생 및 경화 > 초벌갈기 >
시멘트풀 먹임 > 정벌갈기 > 왁스칠
* 줄눈대 목적
1. 재료의 수축, 팽창에 대한 균열 방지
2. 바름 구획의 구분
* 치장 마무리 방법
1. 바름 마무리 2. 갈기 마무리 3. 쪼아내기 4. 씻어내기
* 셀프 레벨링(Self Leveling, SL)재
셀프 레벨링재는 석고계, 시멘트계가 있으며 자체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평탄하게 되는 성질을
이용하여 바닥마름질 공사 등에 사용하는 재료이다.
* 흡수성 큰순서
토기 > 도기 > 석기 > 자기
* 타일의 성형방법에는 건식과 습식의 2가지 방법이 있다. 건식은 원재료를 건조 분말하여
가압 성형한 것이고, 습식은 원재료를 물반죽하여 형틀에 넣고 압출 성형한 것이다.
* 타일의 용도상 종류
1. 외부 벽용 타일 2. 내부 벽용 타일 3. 내부 바닥용 타일
* 타일 붙이기 공사 바탕처리
1. 타일 부착이 잘 되도록 표면은 약간 거칠게 처리한다.
2. 바탕처리 후 1주일 이상 경과 후 타일 붙이기하는 것이 원칙이다.
* 벽타일 붙이기 시공 순서
1. 바탕처리 2. 타일나누기 3. 타일붙이기 4. 치장줄눈 5. 보양
* 타일나누기 순서
바탕처리 > 타일 나누기 > 벽타일 붙이기 > 치장줄눈 > 보양
* 타일 동해방지
1. 소성온도가 높은 타일을 사용
2. 흡수성이 낮은 타일을 사용
3. 붙임용 모르타르 배합비를 정확히 한다.
4. 줄눈 누름을 충분히 하여 빗물의 침투를 방지한다.
* Hard rolled지 : 모자이크 타일 뒷면의 종이로 보양용으로도 이용되기도 한다.
* Art mosaic tile : 소형 타일을 이용하여 벽이나 바닥 등에
회화나 무늬를 만드는 경우에 사용되는 타일
* 내부 바닥용 타일 성질
1. 단단하고 내구성이 강한 것
2. 흡수성이 적은 것
3. 내마모성이 좋고, 충격에 강한 것
4. 표면이 미끄럽지 않은 것
* 타일 압착공법 장점
1. 타일 이면에 공극이 적으므로 백화현상이 적다.
2. 직접 붙임공법에 비해 숙령도를 요하지 않는다.
3. 작업속도가 빠르고 능률적이다.
* 타일 벽붙이기 공법
1. 떠붙임공법 2. 개량 떠붙임공법 3. 압축붙임공법 4. 개량 압축붙임공법
* 바닥 플라스틱재 타일 시공 순서
바탕 고르기 > 프라이머 도포 > 접착제 도포 > 타일 붙이기
* 물시멘트비 : 부어넣기 직전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풀 속의 시멘트에 대한
물의 중량백분율
* 블리딩(bleeding)현상 :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풀,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
물이 윗면에 스며 오르는 현상
* 레이턴스(laitance) :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 수 증발에 따라 표면에 나오는 백색의 미세물질
* 백시멘트 모르타르 : 착색
바라이트 모르타르 : 방사선 차단
석면 모르타르 : 단열
방수 모르타르 : 방수
합성수지계 모르타르 : 광택
아스팔트 모르타르 : 내산성
순석고 플라스터, 혼합석고 플라스터, 경석고 플라스터, 시멘트 바름
인조석 바름, 테라죠 바름
* 기경성 미장재료
진흙 바름, 회반죽, 회사벽 바름, 돌로마이트 플라스터, 아스팔트 모르타르, 진흙질, 소석회
* 알칼리성 미장공사 재료
시멘트 모르타르, 돌로마이트 플라스터, 회반죽
* 치장마무리 방법
1. 시멘트 모르타르 2. 회반죽 3.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4. 석고 플라스터 5. 인조석 바름
* 회반죽 재료
1. 소석회 2. 모래 3. 여물 4. 해초풀
* 회반죽 해초풀의 역할과 기능
1. 점도 증대 2. 부착력 증대 3. 강도 증대 4. 점도를 높여주어 균열방지
* 미장재료 여물
1. 짚여물 2. 삼여물 3. 종이여물 4. 털여물
* 목조 졸대 바탕의 회반죽 시공순서
반죽처리 > 재료반죽 > 바탕처리 > 수염붙이기 > 초벌바름 > 정벌바름 > 마무리 및 보양
* 석회질 : 기경성이며 수축성이다.
* 석고질 : 수경성이며 팽창성이다.
* 실내 3면의 시공순서는 천장, 벽, 바닥의 시공순서로 공사한다.
* 미장바르기 순서는 위에서 부터 밑의 순으로 한다.
또한 벽타일 붙이기는 밑에서 부터 위의 순으로 한다.
* 시멘트 모르타르의 바름 두께
1. 바닥 : 24mm 2. 안벽 : 18mm 3. 바깥벽 : 24mm 4. 천장 : 15mm
* 미장공사 모르타르 바름순서
1. 바탕청소 > 바탕면 보수 > 우묵한 곳 살 보충하기 > 모서리 및 교차부 바르기 > 넓은 면 바르기
2. 벽 보수하기 > 바탕처리 > 들어간 부분 메우기 > 졸대 세우기 >
벽 천체 넓은 부분 바르기 > 모서리부분 바르기
* 바라이트 : 방사선 차단용으로 시멘트, 바라이트 분말, 모래를 섞어 만든다.
* 라스먹임 : 메탈라스, 와이어라스 등의 바탕에 최초로 발라 붙이는 작업
* 덧먹임 : 바르기의 접합부 또는 균열의 틈새, 구멍 등에 반죽된 재료를 밀어 넣는 작업
* 테라조 현장갈기 시공순서
황동줄눈대 대기 > 테라조 종석 바름 > 양생 및 경화 > 초벌갈기 >
시멘트풀 먹임 > 정벌갈기 > 왁스칠
* 줄눈대 목적
1. 재료의 수축, 팽창에 대한 균열 방지
2. 바름 구획의 구분
* 치장 마무리 방법
1. 바름 마무리 2. 갈기 마무리 3. 쪼아내기 4. 씻어내기
* 셀프 레벨링(Self Leveling, SL)재
셀프 레벨링재는 석고계, 시멘트계가 있으며 자체 유동성이 있기 때문에 평탄하게 되는 성질을
이용하여 바닥마름질 공사 등에 사용하는 재료이다.
* 흡수성 큰순서
토기 > 도기 > 석기 > 자기
* 타일의 성형방법에는 건식과 습식의 2가지 방법이 있다. 건식은 원재료를 건조 분말하여
가압 성형한 것이고, 습식은 원재료를 물반죽하여 형틀에 넣고 압출 성형한 것이다.
* 타일의 용도상 종류
1. 외부 벽용 타일 2. 내부 벽용 타일 3. 내부 바닥용 타일
* 타일 붙이기 공사 바탕처리
1. 타일 부착이 잘 되도록 표면은 약간 거칠게 처리한다.
2. 바탕처리 후 1주일 이상 경과 후 타일 붙이기하는 것이 원칙이다.
* 벽타일 붙이기 시공 순서
1. 바탕처리 2. 타일나누기 3. 타일붙이기 4. 치장줄눈 5. 보양
* 타일나누기 순서
바탕처리 > 타일 나누기 > 벽타일 붙이기 > 치장줄눈 > 보양
* 타일 동해방지
1. 소성온도가 높은 타일을 사용
2. 흡수성이 낮은 타일을 사용
3. 붙임용 모르타르 배합비를 정확히 한다.
4. 줄눈 누름을 충분히 하여 빗물의 침투를 방지한다.
* Hard rolled지 : 모자이크 타일 뒷면의 종이로 보양용으로도 이용되기도 한다.
* Art mosaic tile : 소형 타일을 이용하여 벽이나 바닥 등에
회화나 무늬를 만드는 경우에 사용되는 타일
* 내부 바닥용 타일 성질
1. 단단하고 내구성이 강한 것
2. 흡수성이 적은 것
3. 내마모성이 좋고, 충격에 강한 것
4. 표면이 미끄럽지 않은 것
* 타일 압착공법 장점
1. 타일 이면에 공극이 적으므로 백화현상이 적다.
2. 직접 붙임공법에 비해 숙령도를 요하지 않는다.
3. 작업속도가 빠르고 능률적이다.
* 타일 벽붙이기 공법
1. 떠붙임공법 2. 개량 떠붙임공법 3. 압축붙임공법 4. 개량 압축붙임공법
* 바닥 플라스틱재 타일 시공 순서
바탕 고르기 > 프라이머 도포 > 접착제 도포 > 타일 붙이기
* 물시멘트비 : 부어넣기 직전의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에 포함된 시멘트풀 속의 시멘트에 대한
물의 중량백분율
* 블리딩(bleeding)현상 : 아직 굳지 않은 시멘트풀,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에 있어서
물이 윗면에 스며 오르는 현상
* 레이턴스(laitance) : 콘크리트 타설 후 블리딩 수 증발에 따라 표면에 나오는 백색의 미세물질
* 백시멘트 모르타르 : 착색
바라이트 모르타르 : 방사선 차단
석면 모르타르 : 단열
방수 모르타르 : 방수
합성수지계 모르타르 : 광택
아스팔트 모르타르 : 내산성
04. 창호
* 철제 창호의 제작 순서
원척도 작성 > 녹떨기 > 변형 바로잡기 > 금긋기 > 절단 > 구부리기 >
조립 > 용접 >접합부 검사 > 마무리
* 철제 창호의 시공 순서
현장반입 > 변형 바로잡기 > 녹막이칠 > 먹매김 > 구멍파기, 따내기 >
가설치 및 검사 > 묻음발 고정 > 창문틀 주위 사춤 > 보양
* 알루미늄 새시 유의사항
1. 강도가 약하므로 취급시 주의한다.
2. 모르타르, 회반죽 등 알칼리성에 약하므로 직접적인 접촉은 피한다.
3. 이질 금속재와 접속되면 부식되므로 나사못, 창호철물 등은 동질의 것을 사용한다.
* 미서기 창에 필요한 철물
1. 바퀴(호차) 2. 레일 3. 크레센트 4. 오목손걸이
* 창호철물에 쓰이는 부속품
1. 정첩(여닫이문) 2. 레일(미닫이문) 3. 바퀴(호차) 4. 크레센트 5. 오목손걸이
* 용도에 따른 문의 종류
1. 방도용(주름문) 2. 칸막이용(아코디언도어) 3. 현관 방풍용(회전문)
4. 방화용(셔터) 5. 현관용 일반(무테문)
* 문의 종류에 따른 창호철물
1. 플러쉬문(하니 체크) 2. 무테문(피봇 힌지) 3. 아코디언문(레일) 4. 여닫이문(풍소란)
* 셔터 시공시 설치부품
1. 셔터 케이스 2. 홈대(guide rail) 3. 핸들 박스(handle box) 4. 슬랫(slat)
* 보통 판유리의 두께는 2 ~ 5mm 이며, 일반 창호에 쓰이는 두께는 6mm 이하의 것을
박판유리라 하고, 두께 6mm 이상의 것을 후판유리라 한다. 그리고 길이와 두께에 상관없이
9.929㎡ 를 1상자로 하여 판매한다.
* 보통 유리에 비하여 3 ~ 5배의 강도로써 내열성이 있어 200 ℃ 에서도 깨어지지 않고,
일단 금이 가면 전부 공알만한 조각으로 깨어지는 유리를 강화유리라고 한다.
* 강화유리
1. 파손시 모가 작아 안전하다.
2. 강도가 일반 유리에 비해 크다.
3. 일반 유리에 비해 내열성이 있다.
4. 현장에서 재가공이 어렵다.
* 합판유리의 특성
1. 2 ~ 3장 또는 2장 이상의 유리판을 합성수지로 붙여 댄 것으로 강도가 크다.
2. 두께가 두꺼운 것은 방탄유리로 사용된다.
3. 여러 겹이라 다소 하중이 크지만 견고하다.
4. 절단이 용이하다.
* 안전유리의 종류
1. 강화유리 2. 망입유리 3. 접합유리
* 건축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
1. 형판유리 2. 복층유리 3. 망입유리 4. 강화유리 5. 접합유리 6. 자외선투과 유리 등
* 형판유리 : 한쪽 면에 각종 무늬를 넣은 것
망입유리 : 방도용 또는 화재, 기타 파손시 산란하는 위험을 방지하는데 쓰인다. 방화유리
복층유리 : 보온, 방음, 결로에 유리하다. 단열용유리
부식유리 : 장식장용 유리
거울유리 : 갈은 유리
합판유리 : 방탄유리
* 프리즘 유리(prism glass) : 한 면이 톱날형의 흠으로 된 판유리로서 광선을 조절, 확산하여
실내를 밝게 하는 용도로 사용.
투사광선의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집중, 확산시킬 목적으로 사용.
유리블럭
유리블록(glass block) : 채광과 의장을 겸한 구조용 유리벽돌의 용도로 사용
벽돌모양으로 된 중공유리는 채광 및 의장성이 좋다.
투명유리로서 상자 형으로 열전도율이 적음.
망입유리(figured glass) : 유리 중간에 금속 망을 넣은 것으로 화재, 기타 파손시 산란하는
위험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
접합유리 : 2 ~ 3장의 유리 사이에 합성수지를 끼워 접착한 유리
유리섬유 : 보온, 보음, 흡음 등의 효과가 있다.
유리타일 : 불투명의 두꺼운 판유리를 소형으로 자른 것.
광택이 좋고 비흡수성, 화학저항성, 균열방생
구조용유리 : 불투명유리
* 플로트 판유리의 검사항목
1. 치수 2. 형상 3. 겉모양 4. 굴곡
* 유리 끼우기에 사용되는 퍼티의 종류
1. 반죽퍼티 2. 나무퍼티 3. 고무퍼티
* 유리 끼우기 공법
1. 반죽퍼티 대기 2. 나무퍼티 대기 3. 고무퍼티 대기 4. 누름대 대기
* 에어 도어(air door)
건물의 출입구에서 상하로 불리시킨 공기층을 이용하여 건물 내외의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
장치가 설치된 특수 문
* 멀리온(mullion)
창 면적이 클 때 기존 창틀(window frame)을 보강하는 중간 선대
* 샌드 블라스트(sand blast)
모래나 기타 연마제를 물이나 압축 공기로 노즐을 통해 고속 분출하여 유리면 등의 표면을
다소 거친 면으로 처리하는 방법
* 세팅 블록(setting block)
창틀에 유리판을 끼워 넣을 때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 아래쪽에 미리
삽입하는 나무, 고무, 합성수지 등의 재료에 의한 끼움재
* 창문틀이 클 경우 유리의 파손 방지책
1. 나비가 큰 새시바를 사용한다.
2. 중간틀을 보강한다.
3. 멀리온을 설치한다.
* 복층유리의 특징
1. 단열 2. 방음 3. 결로방지
* 페어 글라스(pair glass)
복층유리라고도 하며 2장의 유리사이에 건조한 공기를 넣은 후 밀봉한 유리로
단열, 방음, 결로 방지 효과가 있다.
원척도 작성 > 녹떨기 > 변형 바로잡기 > 금긋기 > 절단 > 구부리기 >
조립 > 용접 >접합부 검사 > 마무리
* 철제 창호의 시공 순서
현장반입 > 변형 바로잡기 > 녹막이칠 > 먹매김 > 구멍파기, 따내기 >
가설치 및 검사 > 묻음발 고정 > 창문틀 주위 사춤 > 보양
* 알루미늄 새시 유의사항
1. 강도가 약하므로 취급시 주의한다.
2. 모르타르, 회반죽 등 알칼리성에 약하므로 직접적인 접촉은 피한다.
3. 이질 금속재와 접속되면 부식되므로 나사못, 창호철물 등은 동질의 것을 사용한다.
* 미서기 창에 필요한 철물
1. 바퀴(호차) 2. 레일 3. 크레센트 4. 오목손걸이
* 창호철물에 쓰이는 부속품
1. 정첩(여닫이문) 2. 레일(미닫이문) 3. 바퀴(호차) 4. 크레센트 5. 오목손걸이
* 용도에 따른 문의 종류
1. 방도용(주름문) 2. 칸막이용(아코디언도어) 3. 현관 방풍용(회전문)
4. 방화용(셔터) 5. 현관용 일반(무테문)
* 문의 종류에 따른 창호철물
1. 플러쉬문(하니 체크) 2. 무테문(피봇 힌지) 3. 아코디언문(레일) 4. 여닫이문(풍소란)
* 셔터 시공시 설치부품
1. 셔터 케이스 2. 홈대(guide rail) 3. 핸들 박스(handle box) 4. 슬랫(slat)
* 보통 판유리의 두께는 2 ~ 5mm 이며, 일반 창호에 쓰이는 두께는 6mm 이하의 것을
박판유리라 하고, 두께 6mm 이상의 것을 후판유리라 한다. 그리고 길이와 두께에 상관없이
9.929㎡ 를 1상자로 하여 판매한다.
* 보통 유리에 비하여 3 ~ 5배의 강도로써 내열성이 있어 200 ℃ 에서도 깨어지지 않고,
일단 금이 가면 전부 공알만한 조각으로 깨어지는 유리를 강화유리라고 한다.
* 강화유리
1. 파손시 모가 작아 안전하다.
2. 강도가 일반 유리에 비해 크다.
3. 일반 유리에 비해 내열성이 있다.
4. 현장에서 재가공이 어렵다.
* 합판유리의 특성
1. 2 ~ 3장 또는 2장 이상의 유리판을 합성수지로 붙여 댄 것으로 강도가 크다.
2. 두께가 두꺼운 것은 방탄유리로 사용된다.
3. 여러 겹이라 다소 하중이 크지만 견고하다.
4. 절단이 용이하다.
* 안전유리의 종류
1. 강화유리 2. 망입유리 3. 접합유리
* 건축 창호에 사용되는 유리
1. 형판유리 2. 복층유리 3. 망입유리 4. 강화유리 5. 접합유리 6. 자외선투과 유리 등
* 형판유리 : 한쪽 면에 각종 무늬를 넣은 것
망입유리 : 방도용 또는 화재, 기타 파손시 산란하는 위험을 방지하는데 쓰인다. 방화유리
복층유리 : 보온, 방음, 결로에 유리하다. 단열용유리
부식유리 : 장식장용 유리
거울유리 : 갈은 유리
합판유리 : 방탄유리
* 프리즘 유리(prism glass) : 한 면이 톱날형의 흠으로 된 판유리로서 광선을 조절, 확산하여
실내를 밝게 하는 용도로 사용.
투사광선의 방향을 변화시키거나 집중, 확산시킬 목적으로 사용.
유리블럭
유리블록(glass block) : 채광과 의장을 겸한 구조용 유리벽돌의 용도로 사용
벽돌모양으로 된 중공유리는 채광 및 의장성이 좋다.
투명유리로서 상자 형으로 열전도율이 적음.
망입유리(figured glass) : 유리 중간에 금속 망을 넣은 것으로 화재, 기타 파손시 산란하는
위험을 방지하는 용도로 사용
접합유리 : 2 ~ 3장의 유리 사이에 합성수지를 끼워 접착한 유리
유리섬유 : 보온, 보음, 흡음 등의 효과가 있다.
유리타일 : 불투명의 두꺼운 판유리를 소형으로 자른 것.
광택이 좋고 비흡수성, 화학저항성, 균열방생
구조용유리 : 불투명유리
* 플로트 판유리의 검사항목
1. 치수 2. 형상 3. 겉모양 4. 굴곡
* 유리 끼우기에 사용되는 퍼티의 종류
1. 반죽퍼티 2. 나무퍼티 3. 고무퍼티
* 유리 끼우기 공법
1. 반죽퍼티 대기 2. 나무퍼티 대기 3. 고무퍼티 대기 4. 누름대 대기
* 에어 도어(air door)
건물의 출입구에서 상하로 불리시킨 공기층을 이용하여 건물 내외의 공기 유통을 차단하는
장치가 설치된 특수 문
* 멀리온(mullion)
창 면적이 클 때 기존 창틀(window frame)을 보강하는 중간 선대
* 샌드 블라스트(sand blast)
모래나 기타 연마제를 물이나 압축 공기로 노즐을 통해 고속 분출하여 유리면 등의 표면을
다소 거친 면으로 처리하는 방법
* 세팅 블록(setting block)
창틀에 유리판을 끼워 넣을 때 유리판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단 아래쪽에 미리
삽입하는 나무, 고무, 합성수지 등의 재료에 의한 끼움재
* 창문틀이 클 경우 유리의 파손 방지책
1. 나비가 큰 새시바를 사용한다.
2. 중간틀을 보강한다.
3. 멀리온을 설치한다.
* 복층유리의 특징
1. 단열 2. 방음 3. 결로방지
* 페어 글라스(pair glass)
복층유리라고도 하며 2장의 유리사이에 건조한 공기를 넣은 후 밀봉한 유리로
단열, 방음, 결로 방지 효과가 있다.
03. 목공사
* 침엽수 : 노적송, 낙엽송, 측백나무
* 활엽수 : 오동나무, 느티나무, 떡갈나무
* 목재의 단면을 표시하는 치수는 구조재, 수장재 나무는 제재치수로 하고 창호재,
가구재의 단면치수는 마무리치수로 한다.
* 목재의 길이
1. 정척물 : 길이가 1.8m, 2.7m, 3.6m 인 것
2. 장척물 : 길이가 정척물보다 0.3m 혹은 0.6m씩 긴 것
3. 단척물 : 길이가 1.8m미만인 것
4. 난척물 : 길이가 정척물이 아닌 것
* 목재의 함수율은 구조용재 20%,기건재 10% ~ 15%, 섬유포화점 30% 이다.
* 목재의 인공건조법 : 증기법, 훈연법, 열기법, 진공법, 고주파 건조법, 자비법
* 널 결 : 원목을 반지름 방향으로 켜서 직선의 나이테가 평행으로 나란히 있는 결
* 곧은 결 : 원목을 나이테의 접선방향으로 켜서 나타나는 결
* 엇 결 : 제재목의 결이 심히 경사진 결 (휘어진 나무를 켠 것)
* 큰 강도순
섬유방향의 인장강도 > 휨강도 > 섬유방향의 압축강도 > 섬유 직각방향의 압축강도 > 전단강도
* 수장용 목재의 요구 성능
1. 결, 무늬, 빛깔 등이 아름다워야 한다.
2. 변형(굽음, 비틀림, 수축 등)이 없을 것
3. 재질감이 우수할 것
4. 건조가 잘 된 것
* 목재 부식의 원인
1. 온도 2. 습도 3. 공기 4. 양분
* 목재저장
1. 직접 땅에 닿지 않게 저장한다.
2. 오염, 손상, 변색, 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.
3. 건조가 잘 되게 저장한다.
4. 습기가 차지 않도록 저장한다.
5. 흙, 먼지, 시멘트 가루 등이 묻지 않도록 저장한다.
6. 종류, 규격, 용도별로 저장한다.
* 목재의 유성방부제
1. 크레오소트 2. 콜타르 3. PCP 4. 유성페인트
* 목재 방부처리법
1. 도포법 2. 침지법 3. 상압주입법 4. 가압주입법 5. 생리적 주입법
* 목재 방화제
1. 인산암모늄 2. 황상암모늄 3. 규산나트륨 4. 탄산나트륨 5. 붕사
* 바심질 : 구멍뚫기, 홈파기, 면접기 및 대피질로 목재를 다듬은 일
* 마름질 : 목재를 크기에 따라 각 부재의 소요 길이로 잘라내는 일
* 목공사 시공순서
먹매김 > 건조처리 > 마름질 > 바심질
* 대패질 순서
막대패질 > 중대패질 > 마무리대패질
* 바심질 시공순서
먹매김 > 자르기와 이음, 맞춤 장부 등을 깍아내기 > 구멍파기, 홈파기, 대패질, 구멍파기 >
필요한 번호, 기호 등을 입면에 기입 > 세우기 순서대로 정리 > 세우기
* 이음 : 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맞춤 : 재와 서로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목재 접합시 주의 사항
1. 접합은 응력이 적은 곳에서 만들 것
2. 목재는 될 수 있는 한 적게 깎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할 것
3. 접합의 단면은 응력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할 것
4.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
5. 응력이 균등하게 전달되게 할 것
* 듀벨 : 목재에서 두 재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와 같이 써서 전단에 견디도록 한 보강철물
* 맞춤 : 재와 서로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이음 : 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재의 길이방향으로 주재를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를 이음이라고 하고, 재와 서로
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를 맞춤이라고 한다.
또, 재를 섬유방향과 평행으로 옆 대어 넓게 붙이는 것을 쪽매라 한다.
* 기둥과 층도리 - 장부빗턱맞춤
평보와 ㅅ자보 - 안장맞춤
토대와 멍에 - 주먹장부맞춤
창호의 맞춤 - 쌍장부맞춤
마구리가 보이지 않는 맞춤 - 연귀맞춤
* 엇빗이음 - 반자틀, 반자살대 등에 쓰인다.
걸침턱 - 지붕보와 도리, 층보와 장선 등의 맞춤에 쓰인다.
빗이음 - 서까래, 지붕널 등에 쓰인다.
* 목재의 연귀맞춤
1. 반연귀 2. 안촉연귀 3. 밖촉연귀 4. 사개연귀
* 빗쪽매 - 반자틀
오늬쪽매 - 흙막이 널말뚝
틈막이대쪽매 - 정두리판벽
제혀쪽매 - 마루널
* 목구조체의 횡력에 대한 변형, 이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 보강방법
1. 가새 2. 버팀대 3. 귀잡이보
* 공사현장에서 쓰이는 공구
1. 타카 : 압축공기를 빌려 망치 대신 사용하는 공구
2. 루터 : 목재의 몰딩이나 흠을 팔 때 쓰는 연장
* 건축에서 이용되는 목공구
1. 대패 2. 톱 3. 끌 4. 타카 5. 루터
* 목재의 연결철물
1. 못 2. 볼트 3. 듀벨 4. 띠쇠 5. 꺽쇠
* 볼트 : ㅅ자보와 평보
띠쇠 : 왕대공의 ㅅ자보
듀벨 : 평보의 맞춤시 전단력 보강용
감잡이쇠 : 평보와 왕대공
안장쇠 : 큰 보와 작은 보
* 목공사에서 둥근 못을 박는데 필요한 못의 길이는 널재 두께의 2.5 ~ 3 배이며
15˚ 정도 기울여 박는 것이 좋다.
* 합판 : 3매 이상의 얇은 나무판을 1매마다 섬유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겹쳐서 붙여놓은 것
섬유판 : 식물 섬유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섬유화, 펄프화하여 접착제를 섞어 판으로 만든 것
파티클 보드 : 목재의 작은 조각 부스러기로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 제판한 보드
* 합판특징
1. 일반 판재에 비해 강도가 균질하며 나비가 큰 판을 얻을 수 있다.
2. 단판을 서로 직교하여 붙여서 잘 갈라지지 않는다.
3. 곡면판을 만들기가 쉽다.
4. 단판이 얇아서 건조가 빠르고 뒤틀림이 적다.
5. 값싸게 아름다운 무늬 합판을 얻을 수 있다.
* 집성목재의 장점
1. 큰 단면, 긴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.
2. 필요에 따라 아치와 같은 굽은 부재를 만들 수 있다.
3. 목재의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.
4.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.
* 2층 목조 건물의 뼈대 세우기
토대 > 1층 벽체 뼈대 > 2층 마루틀 > 2층 벽체 뼈대
* 목조 양식 구조는 깔도리 위에 지붕틀을 얹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얹고
깔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처마도리를 걸쳐 댄다.
* 목재반자틀 시공순서
달대받이 > 반자돌림대 > 반자틀받이 > 반자틀 > 달대
* 보마루 : 일반적인 마루 구조로서 보를 걸고 그 위에 장선을 걸친 후 마루 널을 까는 방식이다.
홑마루 : 보를 쓰지 않고 층도리와 간 막이 도리에 장선을 약 45cm 간격으로 걸쳐대고 그 위에
마루 널을 까는 방식의 마루로서 간 사이가 적은 경우에 이용된다.
* 마루널 2중 깔기 시공순서
동바리 > 멍에 > 장선 > 밑창널 깔기 > 방수지 깔기 > 마루널 깔기
* 계단의 구성에서 계단이 있는 방을 계단실이라 하고, 게단의 한단의 바닥을 디딤바닥 또는
디딤면이라 하고, 수직면을 챌판이라 한다.
또 중간에 단이 없게 넓게 된 다리쉼과 돌림에 쓰이는 부분을 계단참이라 한다.
* 수장공사
1. 징두리판벽(wainscoting) : 벽의 하부에서 1.2m 정도의 높이에 판재 등을 붙인 벽
2. 양판(panel board) : 걸레받이와 두겁대 사이에 끼우는 넓고 길지 아니한 널판
3. 코펜하겐 리브(copenhagen rib) : 보통 두께 3cm, 넓이 10cm 정도의 긴 판에 표면을 여러가지
형태로 가공하여 강당, 극장, 집회장 등에 음향 조절 효과와
장식효과로 사용하는 것
* 현장에서 주문 목재 반입 검수시 가장 중요한 확인사항
1. 목재의 치수와 길이가 맞는지 확인한다.
2. 목재에 흠(굽음, 비틀림, 갈램)이 있는지 확인한다.
3. 주문한 수량과 수종이 맞는지 확인한다.
* 목조계단 설치 시공 순서
1층 멍에, 계단참, 2층 받이 보 > 계단옆판, 난간어미기둥 > 디딤판, 첼판 > 난간동자 > 난간두겁
* 활엽수 : 오동나무, 느티나무, 떡갈나무
* 목재의 단면을 표시하는 치수는 구조재, 수장재 나무는 제재치수로 하고 창호재,
가구재의 단면치수는 마무리치수로 한다.
* 목재의 길이
1. 정척물 : 길이가 1.8m, 2.7m, 3.6m 인 것
2. 장척물 : 길이가 정척물보다 0.3m 혹은 0.6m씩 긴 것
3. 단척물 : 길이가 1.8m미만인 것
4. 난척물 : 길이가 정척물이 아닌 것
* 목재의 함수율은 구조용재 20%,기건재 10% ~ 15%, 섬유포화점 30% 이다.
* 목재의 인공건조법 : 증기법, 훈연법, 열기법, 진공법, 고주파 건조법, 자비법
* 널 결 : 원목을 반지름 방향으로 켜서 직선의 나이테가 평행으로 나란히 있는 결
* 곧은 결 : 원목을 나이테의 접선방향으로 켜서 나타나는 결
* 엇 결 : 제재목의 결이 심히 경사진 결 (휘어진 나무를 켠 것)
* 큰 강도순
섬유방향의 인장강도 > 휨강도 > 섬유방향의 압축강도 > 섬유 직각방향의 압축강도 > 전단강도
* 수장용 목재의 요구 성능
1. 결, 무늬, 빛깔 등이 아름다워야 한다.
2. 변형(굽음, 비틀림, 수축 등)이 없을 것
3. 재질감이 우수할 것
4. 건조가 잘 된 것
* 목재 부식의 원인
1. 온도 2. 습도 3. 공기 4. 양분
* 목재저장
1. 직접 땅에 닿지 않게 저장한다.
2. 오염, 손상, 변색, 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.
3. 건조가 잘 되게 저장한다.
4. 습기가 차지 않도록 저장한다.
5. 흙, 먼지, 시멘트 가루 등이 묻지 않도록 저장한다.
6. 종류, 규격, 용도별로 저장한다.
* 목재의 유성방부제
1. 크레오소트 2. 콜타르 3. PCP 4. 유성페인트
* 목재 방부처리법
1. 도포법 2. 침지법 3. 상압주입법 4. 가압주입법 5. 생리적 주입법
* 목재 방화제
1. 인산암모늄 2. 황상암모늄 3. 규산나트륨 4. 탄산나트륨 5. 붕사
* 바심질 : 구멍뚫기, 홈파기, 면접기 및 대피질로 목재를 다듬은 일
* 마름질 : 목재를 크기에 따라 각 부재의 소요 길이로 잘라내는 일
* 목공사 시공순서
먹매김 > 건조처리 > 마름질 > 바심질
* 대패질 순서
막대패질 > 중대패질 > 마무리대패질
* 바심질 시공순서
먹매김 > 자르기와 이음, 맞춤 장부 등을 깍아내기 > 구멍파기, 홈파기, 대패질, 구멍파기 >
필요한 번호, 기호 등을 입면에 기입 > 세우기 순서대로 정리 > 세우기
* 이음 : 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맞춤 : 재와 서로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목재 접합시 주의 사항
1. 접합은 응력이 적은 곳에서 만들 것
2. 목재는 될 수 있는 한 적게 깎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할 것
3. 접합의 단면은 응력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할 것
4.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
5. 응력이 균등하게 전달되게 할 것
* 듀벨 : 목재에서 두 재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와 같이 써서 전단에 견디도록 한 보강철물
* 맞춤 : 재와 서로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이음 : 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재의 길이방향으로 주재를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를 이음이라고 하고, 재와 서로
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를 맞춤이라고 한다.
또, 재를 섬유방향과 평행으로 옆 대어 넓게 붙이는 것을 쪽매라 한다.
* 기둥과 층도리 - 장부빗턱맞춤
평보와 ㅅ자보 - 안장맞춤
토대와 멍에 - 주먹장부맞춤
창호의 맞춤 - 쌍장부맞춤
마구리가 보이지 않는 맞춤 - 연귀맞춤
* 엇빗이음 - 반자틀, 반자살대 등에 쓰인다.
걸침턱 - 지붕보와 도리, 층보와 장선 등의 맞춤에 쓰인다.
빗이음 - 서까래, 지붕널 등에 쓰인다.
* 목재의 연귀맞춤
1. 반연귀 2. 안촉연귀 3. 밖촉연귀 4. 사개연귀
* 빗쪽매 - 반자틀
오늬쪽매 - 흙막이 널말뚝
틈막이대쪽매 - 정두리판벽
제혀쪽매 - 마루널
* 목구조체의 횡력에 대한 변형, 이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 보강방법
1. 가새 2. 버팀대 3. 귀잡이보
* 공사현장에서 쓰이는 공구
1. 타카 : 압축공기를 빌려 망치 대신 사용하는 공구
2. 루터 : 목재의 몰딩이나 흠을 팔 때 쓰는 연장
* 건축에서 이용되는 목공구
1. 대패 2. 톱 3. 끌 4. 타카 5. 루터
* 목재의 연결철물
1. 못 2. 볼트 3. 듀벨 4. 띠쇠 5. 꺽쇠
* 볼트 : ㅅ자보와 평보
띠쇠 : 왕대공의 ㅅ자보
듀벨 : 평보의 맞춤시 전단력 보강용
감잡이쇠 : 평보와 왕대공
안장쇠 : 큰 보와 작은 보
* 목공사에서 둥근 못을 박는데 필요한 못의 길이는 널재 두께의 2.5 ~ 3 배이며
15˚ 정도 기울여 박는 것이 좋다.
* 합판 : 3매 이상의 얇은 나무판을 1매마다 섬유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겹쳐서 붙여놓은 것
섬유판 : 식물 섬유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섬유화, 펄프화하여 접착제를 섞어 판으로 만든 것
파티클 보드 : 목재의 작은 조각 부스러기로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 제판한 보드
* 합판특징
1. 일반 판재에 비해 강도가 균질하며 나비가 큰 판을 얻을 수 있다.
2. 단판을 서로 직교하여 붙여서 잘 갈라지지 않는다.
3. 곡면판을 만들기가 쉽다.
4. 단판이 얇아서 건조가 빠르고 뒤틀림이 적다.
5. 값싸게 아름다운 무늬 합판을 얻을 수 있다.
* 집성목재의 장점
1. 큰 단면, 긴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.
2. 필요에 따라 아치와 같은 굽은 부재를 만들 수 있다.
3. 목재의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.
4.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.
* 2층 목조 건물의 뼈대 세우기
토대 > 1층 벽체 뼈대 > 2층 마루틀 > 2층 벽체 뼈대
* 목조 양식 구조는 깔도리 위에 지붕틀을 얹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얹고
깔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처마도리를 걸쳐 댄다.
* 목재반자틀 시공순서
달대받이 > 반자돌림대 > 반자틀받이 > 반자틀 > 달대
* 보마루 : 일반적인 마루 구조로서 보를 걸고 그 위에 장선을 걸친 후 마루 널을 까는 방식이다.
홑마루 : 보를 쓰지 않고 층도리와 간 막이 도리에 장선을 약 45cm 간격으로 걸쳐대고 그 위에
마루 널을 까는 방식의 마루로서 간 사이가 적은 경우에 이용된다.
* 마루널 2중 깔기 시공순서
동바리 > 멍에 > 장선 > 밑창널 깔기 > 방수지 깔기 > 마루널 깔기
* 계단의 구성에서 계단이 있는 방을 계단실이라 하고, 게단의 한단의 바닥을 디딤바닥 또는
디딤면이라 하고, 수직면을 챌판이라 한다.
또 중간에 단이 없게 넓게 된 다리쉼과 돌림에 쓰이는 부분을 계단참이라 한다.
* 수장공사
1. 징두리판벽(wainscoting) : 벽의 하부에서 1.2m 정도의 높이에 판재 등을 붙인 벽
2. 양판(panel board) : 걸레받이와 두겁대 사이에 끼우는 넓고 길지 아니한 널판
3. 코펜하겐 리브(copenhagen rib) : 보통 두께 3cm, 넓이 10cm 정도의 긴 판에 표면을 여러가지
형태로 가공하여 강당, 극장, 집회장 등에 음향 조절 효과와
장식효과로 사용하는 것
* 현장에서 주문 목재 반입 검수시 가장 중요한 확인사항
1. 목재의 치수와 길이가 맞는지 확인한다.
2. 목재에 흠(굽음, 비틀림, 갈램)이 있는지 확인한다.
3. 주문한 수량과 수종이 맞는지 확인한다.
* 목조계단 설치 시공 순서
1층 멍에, 계단참, 2층 받이 보 > 계단옆판, 난간어미기둥 > 디딤판, 첼판 > 난간동자 > 난간두겁
02. 조적
* 벽돌의 마름질(cutting)
1. 이오토막 2. 칠오토막 3. 반토막 4. 반절 5. 반반절 (추가 : 경사반절)
* 벽돌쌓기 방식
1. 영식쌓기 : 한 켜는 마구리쌓기, 다음 켜는 길이쌓기, 마구리쌓기 층의 모서리에 이오토막을
사용한다.
2. 화란식쌓기 : 영식 쌓기와 같으나 길이 층 모서리에 칠오토막을 사용한다.
3. 불식쌓기 : 매 켜에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가 번갈아 나오게 쌓는 방식이다.
4. 미식쌓기 : 표면에 치장벽돌로 5켜 길이쌓기, 1켜는 마구리쌓기로 쌓는다.
* 조적 쌓기 종류
1. 마구리쌓기 : 마구리면이 보이게 쌓는 것
2. 길이쌓기 : 길이면이 보이게 쌓는 것
3. 옆세워쌓기 : 마구리를 세워 쌓는 것
4. 길이세워쌓기 : 길이를 세워 쌓는 것
* 조적공사 치장줄눈
1. 평줄눈 2. 오목줄눈 3. 볼록줄눈 4. 민줄눈 5. 내민줄눈 6. 빗줄눈
* 벽돌 쌓기시 주의 사항
1. 굳기 시작한 모르타르는 사용하지 않는다.
2. 벽돌의 부착면 전면에 모르타르가 고루 퍼지도록하여 쌓는다.
3. 건조시에는 충분히 물을 축여서 쌓는다.
4. 1일 쌓기 높이는 1.2m ~ 1.5m (17~20켜) 정도로 한다.
5. 벽돌 벽체의 수장을 위해서 나무 벽돌, 고정 철물 등은 미리 설치하여 둔다.
* 공사시 공간 쌓기의 효과
1. 방습 2. 방음 3. 단열
* 아치 쌓기
1. 본 아치 : 주문 제작하여 쌓는 아치
2. 막만든 아치 : 보통 벽돌을 쐐기 모양으로 다음어 쌓는 아치
3. 거친 아치 : 보통 벽돌을 사용하고 줄눈을 쐐기 모양으로 쌓는 아치
4. 층두리 아치 : 층지게 쌓는 아치
* 아치의 모양에 따른 종류
1. 반원아치 2. 결원아치 3. 평아치 4. 뾰족아치 (추가 : 타원아치, 고딕아치)
* 아치쌓기 정의
벽돌의 아치 쌓기는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아치축선에 따라 압축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
아치 하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 때 아치의 모든 줄눈을 원호 중심에
모이도록 한다.
* 벽돌 1일 쌓기 높이는 1.2m ~ 1.5m 이하, 보통 1.2m , 공간 쌓기 할 때는 3.6m 이하로 쌓는다.
* 벽의 홈파기
1. 가로 홈의 깊이는 벽두께의 1/3 이하로 하며 가로홈의 길이는 3m 이하로 한다.
2. 세로 홈의 길이는 층높이의 3/4 이하로 하며 깊이는 벽두께의 1/3 이하로 한다.
* 백화현상
조적조 벽면이나 시멘트 모르타르의 표면 등에 흰가루가 생기는 현상
* 블록 쌓기시 줄눈의 두께
줄눈의 폭은 10mm로 하고 빈틈없게 모르타르를 바른다.
* 콘크리트 블록 쌓기
콘크리트 블록 쌓기에 있어서 1일 쌓는 높이는 최고 1.5m 높이이고 7켜로 한다.
쌓기용 모르타르 배합은 1 : 3으로 하며 블록의 살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위로 가도록 쌓는다.
* 조적조에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목적
1. 분산된 벽체를 일체로 하여 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킴.
2. 수직 균열을 방지
3. 세로 철글의 장착
(추가 : 집중하중을 받는 부분을 보강)
* 건축공사에 이용되는 ALC 블록의 특징
1. 기건 비중을 콘크리트의 1/4 정도로 가볍다.
2. 열전도율은 보통 콘크리트의 1/10정도로 단열 효과가 좋다.
3. 흡음성, 차음성이 우수하다.
4. 불연재료인 동시에 내화구조 재료이다.
(추가 :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다.)
* 석재의 흡수율 순서
응회암 > 사암 > 안산암 > 화강석 > 대리석
* 석재의 강도 순서
화강석 > 대리석 > 안산암 > 사암 > 응회암
* 석재의 가공순서
메다듬 > 정다듬 > 도드락다듬 > 잔다듬 > 물갈기
* 석재 표면 가공 용구
1. 날망치 : 잔다듬
2. 도드락망치 : 도드락다듬
3. 금강사 : 물갈기
4. 쇠메 : 메다듬
5. 망치와 정 : 정다듬
* 석재의 표면 형상에 모치기의 종류
1. 흑두기 2. 빗모치기 3. 두모치기 (추가 : 세모치기)
* 바닥돌 깔기의 종류
1. 원형 깔기 2. 마름모 깔기 3. 바둑무늬 깔기 4. 삿자리무늬 깔기
(추가 : 어금 깔기, 우물마루식 깔기, 자연석 깔기, 빗깔기)
* 돌쌓기의 종류
1. 바른층쌓기 2. 허튼층 쌓기 3. 층지어쌓기 4. 막쌓기 5. 엇모쌓기
(추가 : 마름모쌓기, 바지무늬쌓기)
* 장식용 테라코타의 용도
1. 주두 2. 돌림대 3. 난간두겁
* 테라코타의 틀징과 용도
특징 : 1. 일반 석재보다 가볍다.
2. 화강암보다 내화력이 좋다.
3.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므로 외장에 적당하다.
용도 : 1. 주두 2. 돌림대 3. 난간두겁
* 벽돌 벽 용어
1. 내력벽 : 상부의 고정하중 및 적재하중을 받아 하부의 기초에 전달하는 벽
2. 장막벽 : 상부 하중을 받지 않고 자체의 하중만을 받는 벽
3. 중공벽 : 외벽에 방습, 방음, 단열 등의 목적으로 벽체의 중간에 공간을 두어 이중으로 쌓는 벽
* 벽돌줄눈 특징
1. 평줄눈 : 벽돌의 형태가 고르지 않을 경우 사용하며 질감(Texture)의 거침.
2. 볼록줄눈 : 면이 깨끗하고 반득한 벽돌에 사용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느낌과 여성적 선의 흐름.
3. 내민줄눈 : 벽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사용하며 줄눈의 효과를 확실히 함.
4. 오목줄눈 : 면이 깨끗한 별돌에 사용하며 약한 음영표시, 영성적 느낌, 평줄눈과 민줄눈의 중간.
5. 민줄눈 : 형태가 고르고 깨끗한 벽돌에 사용하며 질감을 깨끗하게 연출하는 일반적 형태.
* 백화의 원인과 대책
원인 : 1. 줄눈 모르타르의 시멘트의 산화칼슘(CaO)이 물과 공기중의 탄산가스(CO2)에 의해
반응하여 희게 나타난다.
2. 벽돌의 황산나트륨과 모르타르의 소석회가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나타나는 현상.
대책 : 1. 소성이 잘된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.
2. 줄눈 모르타르 사춤을 빈틈없이 다져 넣는다.
(추가 : 벽돌 벽면을 파라핀 도료 등을 발라 방수처리 한다.
벽면에 적절히 비막이 시설을 한다. )
* 벽돌공사 방습층 실치
목적 : 지반의 습기가 벽돌 벽체를 타고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.
위치 : 지반과 마루 밑 또는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설치
재료 : 방수 모르타르 또는 아스팔트 모르타르를 1~2cm 두께로 바른다.
( 추가 : 아스팔트를 도포 후 아스팔트 펠트를 깐다.)
* 벽돌조 건물의 시공상 결함에 의해 생기는 균열 원인
1. 벽돌 및 모르타르 자체의 강도 부족과 신충성
2. 벽돌벽의 부분적 시공 결함
3. 이질재와의 접합부
4. 칸막이 벽(장막벽) 상부의 모르타르 다져 넣기 부족
5. 모르타르 바름시 들뜨기
* 조적조 벽돌벽의 균열원인을 설계. 계획적 측면에서의 문제점
1. 기초의 부동침하
2. 건물의 평면, 입면의 불균형 및 벽의 불합리한 배치
3. 벽돌벽의 길이, 높이, 두께에 대한 벽돌 벽체의 강도 부족
4. 큰 집중하중, 횡하중 등을 받게 설계된 부분.
(추가 :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등)
* 석재의 표면 마무리 특수공법
1. 모래 분사법 2. 화염 분사(버너구이)법 3. 착색법
1. 이오토막 2. 칠오토막 3. 반토막 4. 반절 5. 반반절 (추가 : 경사반절)
* 벽돌쌓기 방식
1. 영식쌓기 : 한 켜는 마구리쌓기, 다음 켜는 길이쌓기, 마구리쌓기 층의 모서리에 이오토막을
사용한다.
2. 화란식쌓기 : 영식 쌓기와 같으나 길이 층 모서리에 칠오토막을 사용한다.
3. 불식쌓기 : 매 켜에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가 번갈아 나오게 쌓는 방식이다.
4. 미식쌓기 : 표면에 치장벽돌로 5켜 길이쌓기, 1켜는 마구리쌓기로 쌓는다.
* 조적 쌓기 종류
1. 마구리쌓기 : 마구리면이 보이게 쌓는 것
2. 길이쌓기 : 길이면이 보이게 쌓는 것
3. 옆세워쌓기 : 마구리를 세워 쌓는 것
4. 길이세워쌓기 : 길이를 세워 쌓는 것
* 조적공사 치장줄눈
1. 평줄눈 2. 오목줄눈 3. 볼록줄눈 4. 민줄눈 5. 내민줄눈 6. 빗줄눈
* 벽돌 쌓기시 주의 사항
1. 굳기 시작한 모르타르는 사용하지 않는다.
2. 벽돌의 부착면 전면에 모르타르가 고루 퍼지도록하여 쌓는다.
3. 건조시에는 충분히 물을 축여서 쌓는다.
4. 1일 쌓기 높이는 1.2m ~ 1.5m (17~20켜) 정도로 한다.
5. 벽돌 벽체의 수장을 위해서 나무 벽돌, 고정 철물 등은 미리 설치하여 둔다.
* 공사시 공간 쌓기의 효과
1. 방습 2. 방음 3. 단열
* 아치 쌓기
1. 본 아치 : 주문 제작하여 쌓는 아치
2. 막만든 아치 : 보통 벽돌을 쐐기 모양으로 다음어 쌓는 아치
3. 거친 아치 : 보통 벽돌을 사용하고 줄눈을 쐐기 모양으로 쌓는 아치
4. 층두리 아치 : 층지게 쌓는 아치
* 아치의 모양에 따른 종류
1. 반원아치 2. 결원아치 3. 평아치 4. 뾰족아치 (추가 : 타원아치, 고딕아치)
* 아치쌓기 정의
벽돌의 아치 쌓기는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아치축선에 따라 압축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
아치 하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 때 아치의 모든 줄눈을 원호 중심에
모이도록 한다.
* 벽돌 1일 쌓기 높이는 1.2m ~ 1.5m 이하, 보통 1.2m , 공간 쌓기 할 때는 3.6m 이하로 쌓는다.
* 벽의 홈파기
1. 가로 홈의 깊이는 벽두께의 1/3 이하로 하며 가로홈의 길이는 3m 이하로 한다.
2. 세로 홈의 길이는 층높이의 3/4 이하로 하며 깊이는 벽두께의 1/3 이하로 한다.
* 백화현상
조적조 벽면이나 시멘트 모르타르의 표면 등에 흰가루가 생기는 현상
* 블록 쌓기시 줄눈의 두께
줄눈의 폭은 10mm로 하고 빈틈없게 모르타르를 바른다.
* 콘크리트 블록 쌓기
콘크리트 블록 쌓기에 있어서 1일 쌓는 높이는 최고 1.5m 높이이고 7켜로 한다.
쌓기용 모르타르 배합은 1 : 3으로 하며 블록의 살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위로 가도록 쌓는다.
* 조적조에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목적
1. 분산된 벽체를 일체로 하여 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킴.
2. 수직 균열을 방지
3. 세로 철글의 장착
(추가 : 집중하중을 받는 부분을 보강)
* 건축공사에 이용되는 ALC 블록의 특징
1. 기건 비중을 콘크리트의 1/4 정도로 가볍다.
2. 열전도율은 보통 콘크리트의 1/10정도로 단열 효과가 좋다.
3. 흡음성, 차음성이 우수하다.
4. 불연재료인 동시에 내화구조 재료이다.
(추가 :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다.)
* 석재의 흡수율 순서
응회암 > 사암 > 안산암 > 화강석 > 대리석
* 석재의 강도 순서
화강석 > 대리석 > 안산암 > 사암 > 응회암
* 석재의 가공순서
메다듬 > 정다듬 > 도드락다듬 > 잔다듬 > 물갈기
* 석재 표면 가공 용구
1. 날망치 : 잔다듬
2. 도드락망치 : 도드락다듬
3. 금강사 : 물갈기
4. 쇠메 : 메다듬
5. 망치와 정 : 정다듬
* 석재의 표면 형상에 모치기의 종류
1. 흑두기 2. 빗모치기 3. 두모치기 (추가 : 세모치기)
* 바닥돌 깔기의 종류
1. 원형 깔기 2. 마름모 깔기 3. 바둑무늬 깔기 4. 삿자리무늬 깔기
(추가 : 어금 깔기, 우물마루식 깔기, 자연석 깔기, 빗깔기)
* 돌쌓기의 종류
1. 바른층쌓기 2. 허튼층 쌓기 3. 층지어쌓기 4. 막쌓기 5. 엇모쌓기
(추가 : 마름모쌓기, 바지무늬쌓기)
* 장식용 테라코타의 용도
1. 주두 2. 돌림대 3. 난간두겁
* 테라코타의 틀징과 용도
특징 : 1. 일반 석재보다 가볍다.
2. 화강암보다 내화력이 좋다.
3.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므로 외장에 적당하다.
용도 : 1. 주두 2. 돌림대 3. 난간두겁
* 벽돌 벽 용어
1. 내력벽 : 상부의 고정하중 및 적재하중을 받아 하부의 기초에 전달하는 벽
2. 장막벽 : 상부 하중을 받지 않고 자체의 하중만을 받는 벽
3. 중공벽 : 외벽에 방습, 방음, 단열 등의 목적으로 벽체의 중간에 공간을 두어 이중으로 쌓는 벽
* 벽돌줄눈 특징
1. 평줄눈 : 벽돌의 형태가 고르지 않을 경우 사용하며 질감(Texture)의 거침.
2. 볼록줄눈 : 면이 깨끗하고 반득한 벽돌에 사용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느낌과 여성적 선의 흐름.
3. 내민줄눈 : 벽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사용하며 줄눈의 효과를 확실히 함.
4. 오목줄눈 : 면이 깨끗한 별돌에 사용하며 약한 음영표시, 영성적 느낌, 평줄눈과 민줄눈의 중간.
5. 민줄눈 : 형태가 고르고 깨끗한 벽돌에 사용하며 질감을 깨끗하게 연출하는 일반적 형태.
* 백화의 원인과 대책
원인 : 1. 줄눈 모르타르의 시멘트의 산화칼슘(CaO)이 물과 공기중의 탄산가스(CO2)에 의해
반응하여 희게 나타난다.
2. 벽돌의 황산나트륨과 모르타르의 소석회가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나타나는 현상.
대책 : 1. 소성이 잘된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.
2. 줄눈 모르타르 사춤을 빈틈없이 다져 넣는다.
(추가 : 벽돌 벽면을 파라핀 도료 등을 발라 방수처리 한다.
벽면에 적절히 비막이 시설을 한다. )
* 벽돌공사 방습층 실치
목적 : 지반의 습기가 벽돌 벽체를 타고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.
위치 : 지반과 마루 밑 또는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설치
재료 : 방수 모르타르 또는 아스팔트 모르타르를 1~2cm 두께로 바른다.
( 추가 : 아스팔트를 도포 후 아스팔트 펠트를 깐다.)
* 벽돌조 건물의 시공상 결함에 의해 생기는 균열 원인
1. 벽돌 및 모르타르 자체의 강도 부족과 신충성
2. 벽돌벽의 부분적 시공 결함
3. 이질재와의 접합부
4. 칸막이 벽(장막벽) 상부의 모르타르 다져 넣기 부족
5. 모르타르 바름시 들뜨기
* 조적조 벽돌벽의 균열원인을 설계. 계획적 측면에서의 문제점
1. 기초의 부동침하
2. 건물의 평면, 입면의 불균형 및 벽의 불합리한 배치
3. 벽돌벽의 길이, 높이, 두께에 대한 벽돌 벽체의 강도 부족
4. 큰 집중하중, 횡하중 등을 받게 설계된 부분.
(추가 :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등)
* 석재의 표면 마무리 특수공법
1. 모래 분사법 2. 화염 분사(버너구이)법 3. 착색법
2012년 6월 27일 수요일
01. 비계
비계란
높아서 손이 닿지 않아 작업하기가 어려울 때 필요한 면적을 확보하는 가설물.
작업이 용이하고 재료의 운반을 할 수 있으며 작업원의 통로가 된다.
건축 공사용 비계는 외줄비계, 겹비계, 쌍줄비계, 틀비계, 달비계가 있다.
외줄비계, 겹비계, 쌍줄비계 : 외부비계
수평비계 : 내부비계
. 외줄비계 : 외부비계로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며 외부공사에 이용한다.
. 쌍줄비계 : 외부비계로 고층 건물의 외벽에 중량 마감공사
. 틀비계 : 45m이하의 높이로 현장조립이 용이하다.
. 달비계 : 외부비계로 외벽의 청소 및 마감 공사에 많이 이용한다.
건물의 고정된 돌출보 등에서 와이어로프로 매단 작업대로 동력 윈치로 상.하로
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고층 건물 유지관리에 편리한 비계의 일종이다.
. 말비계(발도음) : 내부비계로 이동이 용이하고 높지 않은 간단한 내부공사에 이용한다.
. 수평비계 : 내부비계로 내부 천정공사에 많이 이용한다.
. 통나무 비계 : 기둥,장선, 띠장,비계발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계발판은 수직방향 5.5m
수평방향 7.5m 이하의 간격으로 건축물의 구조체에 연결하고 가새는
수평간격 14m 내외, 각도는 45도 로 걸쳐대어 비계기둥에 결속한다.
비계용 통나무는 직격 10-12cm 이내 끝마무리 지금 3.5cm, 길이 720cm 정도의
낙엽송, 삼나무를 사용한다. 결속손은 철선 # 8 - 10을 달구어 쓴다.
통나무 비계의 설치순서는
재료현장반입 - 비계기둥 - 띠장 - 가새 및 버팀대 - 장선 - 발판
순이다.
. 파이프 비계 : 직교형, 자재형, 특수형의 연결철물을 사용한다.
. 강관비계 : 설치시 커플링(연결철물), 이음철물, 베이스(base)와 같은 부속철물이 필요하다.
. 수평틀(띠장틀), 세로틀, 교차가새는 실내시공에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강관틀 비계의
중요부품이다.
. 가설공사 중에서 강관비계 기둥의 간격은 1.5 - 1.8m 이고 간사이 방향으로 0.9 - 1.5m 로 한다.
가새의 수평간격은 14m내외로 하고, 각도는 45도로 걸쳐대고 비계기둥에 결속 한다.
띠장의 간격은 1.5m 내외로 하고, 지상 제 1 띠장은 지상에서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.
비계다리는 너비 90cm이상, 경사는 30도 이하를 표준으로 하되 되돌림 또는 참을 7m 이내마다 설치하고 높이 75cm 이상의 난간 손스침을 설치한다.
. 페코 빔(pecco beam) : 강재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만든 조립보로 받침 기둥이 필요 없는 좌우로 신축이 가능한 가설 수평지지보
. 데크플레이트(deck plate) : 철골조 보에 걸어서 지주 없이 쓰이는 골 모양의 철재 바닥판.
높아서 손이 닿지 않아 작업하기가 어려울 때 필요한 면적을 확보하는 가설물.
작업이 용이하고 재료의 운반을 할 수 있으며 작업원의 통로가 된다.
건축 공사용 비계는 외줄비계, 겹비계, 쌍줄비계, 틀비계, 달비계가 있다.
외줄비계, 겹비계, 쌍줄비계 : 외부비계
수평비계 : 내부비계
. 외줄비계 : 외부비계로 설치가 비교적 간단하며 외부공사에 이용한다.
. 쌍줄비계 : 외부비계로 고층 건물의 외벽에 중량 마감공사
. 틀비계 : 45m이하의 높이로 현장조립이 용이하다.
. 달비계 : 외부비계로 외벽의 청소 및 마감 공사에 많이 이용한다.
건물의 고정된 돌출보 등에서 와이어로프로 매단 작업대로 동력 윈치로 상.하로
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고층 건물 유지관리에 편리한 비계의 일종이다.
. 말비계(발도음) : 내부비계로 이동이 용이하고 높지 않은 간단한 내부공사에 이용한다.
. 수평비계 : 내부비계로 내부 천정공사에 많이 이용한다.
. 통나무 비계 : 기둥,장선, 띠장,비계발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계발판은 수직방향 5.5m
수평방향 7.5m 이하의 간격으로 건축물의 구조체에 연결하고 가새는
수평간격 14m 내외, 각도는 45도 로 걸쳐대어 비계기둥에 결속한다.
비계용 통나무는 직격 10-12cm 이내 끝마무리 지금 3.5cm, 길이 720cm 정도의
낙엽송, 삼나무를 사용한다. 결속손은 철선 # 8 - 10을 달구어 쓴다.
통나무 비계의 설치순서는
재료현장반입 - 비계기둥 - 띠장 - 가새 및 버팀대 - 장선 - 발판
순이다.
. 파이프 비계 : 직교형, 자재형, 특수형의 연결철물을 사용한다.
. 강관비계 : 설치시 커플링(연결철물), 이음철물, 베이스(base)와 같은 부속철물이 필요하다.
. 수평틀(띠장틀), 세로틀, 교차가새는 실내시공에서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강관틀 비계의
중요부품이다.
. 가설공사 중에서 강관비계 기둥의 간격은 1.5 - 1.8m 이고 간사이 방향으로 0.9 - 1.5m 로 한다.
가새의 수평간격은 14m내외로 하고, 각도는 45도로 걸쳐대고 비계기둥에 결속 한다.
띠장의 간격은 1.5m 내외로 하고, 지상 제 1 띠장은 지상에서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.
비계다리는 너비 90cm이상, 경사는 30도 이하를 표준으로 하되 되돌림 또는 참을 7m 이내마다 설치하고 높이 75cm 이상의 난간 손스침을 설치한다.
. 페코 빔(pecco beam) : 강재의 인장력을 이용하여 만든 조립보로 받침 기둥이 필요 없는 좌우로 신축이 가능한 가설 수평지지보
. 데크플레이트(deck plate) : 철골조 보에 걸어서 지주 없이 쓰이는 골 모양의 철재 바닥판.
피드 구독하기:
글 (Atom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