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2년 6월 28일 목요일

02. 조적

* 벽돌의 마름질(cutting)

1. 이오토막 2. 칠오토막 3. 반토막 4. 반절 5. 반반절 (추가 : 경사반절)



* 벽돌쌓기 방식

1. 영식쌓기 : 한 켜는 마구리쌓기, 다음 켜는 길이쌓기, 마구리쌓기 층의 모서리에 이오토막을

사용한다.

2. 화란식쌓기 : 영식 쌓기와 같으나 길이 층 모서리에 칠오토막을 사용한다.

3. 불식쌓기 : 매 켜에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가 번갈아 나오게 쌓는 방식이다.

4. 미식쌓기 : 표면에 치장벽돌로 5켜 길이쌓기, 1켜는 마구리쌓기로 쌓는다.



* 조적 쌓기 종류

1. 마구리쌓기 : 마구리면이 보이게 쌓는 것

2. 길이쌓기 : 길이면이 보이게 쌓는 것

3. 옆세워쌓기 : 마구리를 세워 쌓는 것

4. 길이세워쌓기 : 길이를 세워 쌓는 것



* 조적공사 치장줄눈

1. 평줄눈 2. 오목줄눈 3. 볼록줄눈 4. 민줄눈 5. 내민줄눈 6. 빗줄눈



* 벽돌 쌓기시 주의 사항

1. 굳기 시작한 모르타르는 사용하지 않는다.

2. 벽돌의 부착면 전면에 모르타르가 고루 퍼지도록하여 쌓는다.

3. 건조시에는 충분히 물을 축여서 쌓는다.

4. 1일 쌓기 높이는 1.2m ~ 1.5m (17~20켜) 정도로 한다.

5. 벽돌 벽체의 수장을 위해서 나무 벽돌, 고정 철물 등은 미리 설치하여 둔다.



* 공사시 공간 쌓기의 효과

1. 방습 2. 방음 3. 단열



* 아치 쌓기

1. 본 아치 : 주문 제작하여 쌓는 아치

2. 막만든 아치 : 보통 벽돌을 쐐기 모양으로 다음어 쌓는 아치

3. 거친 아치 : 보통 벽돌을 사용하고 줄눈을 쐐기 모양으로 쌓는 아치

4. 층두리 아치 : 층지게 쌓는 아치



* 아치의 모양에 따른 종류

1. 반원아치 2. 결원아치 3. 평아치 4. 뾰족아치 (추가 : 타원아치, 고딕아치)



* 아치쌓기 정의

벽돌의 아치 쌓기는 상부에서 오는 하중을 아치축선에 따라 압축력으로 작용하도록 하고

아치 하부에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 때 아치의 모든 줄눈을 원호 중심에

모이도록 한다.



* 벽돌 1일 쌓기 높이는 1.2m ~ 1.5m 이하, 보통 1.2m , 공간 쌓기 할 때는 3.6m 이하로 쌓는다.



* 벽의 홈파기

1. 가로 홈의 깊이는 벽두께의 1/3 이하로 하며 가로홈의 길이는 3m 이하로 한다.

2. 세로 홈의 길이는 층높이의 3/4 이하로 하며 깊이는 벽두께의 1/3 이하로 한다.



* 백화현상

조적조 벽면이나 시멘트 모르타르의 표면 등에 흰가루가 생기는 현상



* 블록 쌓기시 줄눈의 두께

줄눈의 폭은 10mm로 하고 빈틈없게 모르타르를 바른다.



* 콘크리트 블록 쌓기

콘크리트 블록 쌓기에 있어서 1일 쌓는 높이는 최고 1.5m 높이이고 7켜로 한다.

쌓기용 모르타르 배합은 1 : 3으로 하며 블록의 살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위로 가도록 쌓는다.



* 조적조에서 테두리보를 설치하는 목적

1. 분산된 벽체를 일체로 하여 하중을 균등하게 분포시킴.

2. 수직 균열을 방지

3. 세로 철글의 장착

(추가 : 집중하중을 받는 부분을 보강)



* 건축공사에 이용되는 ALC 블록의 특징

1. 기건 비중을 콘크리트의 1/4 정도로 가볍다.

2. 열전도율은 보통 콘크리트의 1/10정도로 단열 효과가 좋다.

3. 흡음성, 차음성이 우수하다.

4. 불연재료인 동시에 내화구조 재료이다.

(추가 : 경량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현장에서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다.)



* 석재의 흡수율 순서

응회암 > 사암 > 안산암 > 화강석 > 대리석



* 석재의 강도 순서

화강석 > 대리석 > 안산암 > 사암 > 응회암



* 석재의 가공순서

메다듬 > 정다듬 > 도드락다듬 > 잔다듬 > 물갈기



* 석재 표면 가공 용구

1. 날망치 : 잔다듬

2. 도드락망치 : 도드락다듬

3. 금강사 : 물갈기

4. 쇠메 : 메다듬

5. 망치와 정 : 정다듬



* 석재의 표면 형상에 모치기의 종류

1. 흑두기 2. 빗모치기 3. 두모치기 (추가 : 세모치기)



* 바닥돌 깔기의 종류

1. 원형 깔기 2. 마름모 깔기 3. 바둑무늬 깔기 4. 삿자리무늬 깔기

(추가 : 어금 깔기, 우물마루식 깔기, 자연석 깔기, 빗깔기)



* 돌쌓기의 종류

1. 바른층쌓기 2. 허튼층 쌓기 3. 층지어쌓기 4. 막쌓기 5. 엇모쌓기

(추가 : 마름모쌓기, 바지무늬쌓기)



* 장식용 테라코타의 용도

1. 주두 2. 돌림대 3. 난간두겁



* 테라코타의 틀징과 용도

특징 : 1. 일반 석재보다 가볍다.

2. 화강암보다 내화력이 좋다.

3. 대리석보다 풍화에 강하므로 외장에 적당하다.

용도 : 1. 주두 2. 돌림대 3. 난간두겁



* 벽돌 벽 용어

1. 내력벽 : 상부의 고정하중 및 적재하중을 받아 하부의 기초에 전달하는 벽

2. 장막벽 : 상부 하중을 받지 않고 자체의 하중만을 받는 벽

3. 중공벽 : 외벽에 방습, 방음, 단열 등의 목적으로 벽체의 중간에 공간을 두어 이중으로 쌓는 벽



* 벽돌줄눈 특징

1. 평줄눈 : 벽돌의 형태가 고르지 않을 경우 사용하며 질감(Texture)의 거침.

2. 볼록줄눈 : 면이 깨끗하고 반득한 벽돌에 사용하며 순하고 부드러운 느낌과 여성적 선의 흐름.

3. 내민줄눈 : 벽면이 고르지 않을 경우 사용하며 줄눈의 효과를 확실히 함.

4. 오목줄눈 : 면이 깨끗한 별돌에 사용하며 약한 음영표시, 영성적 느낌, 평줄눈과 민줄눈의 중간.

5. 민줄눈 : 형태가 고르고 깨끗한 벽돌에 사용하며 질감을 깨끗하게 연출하는 일반적 형태.



* 백화의 원인과 대책

원인 : 1. 줄눈 모르타르의 시멘트의 산화칼슘(CaO)이 물과 공기중의 탄산가스(CO2)에 의해

반응하여 희게 나타난다.

2. 벽돌의 황산나트륨과 모르타르의 소석회가 화학반응을 일으켜서 나타나는 현상.

대책 : 1. 소성이 잘된 양질의 벽돌을 사용한다.

2. 줄눈 모르타르 사춤을 빈틈없이 다져 넣는다.

(추가 : 벽돌 벽면을 파라핀 도료 등을 발라 방수처리 한다.

벽면에 적절히 비막이 시설을 한다. )



* 벽돌공사 방습층 실치

목적 : 지반의 습기가 벽돌 벽체를 타고 상승하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.

위치 : 지반과 마루 밑 또는 콘크리트 바닥 사이에 설치

재료 : 방수 모르타르 또는 아스팔트 모르타르를 1~2cm 두께로 바른다.

( 추가 : 아스팔트를 도포 후 아스팔트 펠트를 깐다.)



* 벽돌조 건물의 시공상 결함에 의해 생기는 균열 원인

1. 벽돌 및 모르타르 자체의 강도 부족과 신충성

2. 벽돌벽의 부분적 시공 결함

3. 이질재와의 접합부

4. 칸막이 벽(장막벽) 상부의 모르타르 다져 넣기 부족

5. 모르타르 바름시 들뜨기



* 조적조 벽돌벽의 균열원인을 설계. 계획적 측면에서의 문제점

1. 기초의 부동침하

2. 건물의 평면, 입면의 불균형 및 벽의 불합리한 배치

3. 벽돌벽의 길이, 높이, 두께에 대한 벽돌 벽체의 강도 부족

4. 큰 집중하중, 횡하중 등을 받게 설계된 부분.

(추가 : 문꼴 크기의 불합리 및 불균형 배치 등)



* 석재의 표면 마무리 특수공법

1. 모래 분사법 2. 화염 분사(버너구이)법 3. 착색법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