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침엽수 : 노적송, 낙엽송, 측백나무
* 활엽수 : 오동나무, 느티나무, 떡갈나무
* 목재의 단면을 표시하는 치수는 구조재, 수장재 나무는 제재치수로 하고 창호재,
가구재의 단면치수는 마무리치수로 한다.
* 목재의 길이
1. 정척물 : 길이가 1.8m, 2.7m, 3.6m 인 것
2. 장척물 : 길이가 정척물보다 0.3m 혹은 0.6m씩 긴
것
3. 단척물 : 길이가 1.8m미만인 것
4. 난척물 : 길이가 정척물이 아닌 것
* 목재의 함수율은 구조용재 20%,기건재 10% ~ 15%, 섬유포화점
30% 이다.
* 목재의 인공건조법 : 증기법, 훈연법, 열기법, 진공법, 고주파 건조법, 자비법
* 널 결 : 원목을 반지름 방향으로 켜서 직선의 나이테가 평행으로 나란히 있는 결
* 곧은 결 : 원목을 나이테의 접선방향으로 켜서 나타나는 결
* 엇 결 : 제재목의 결이 심히 경사진 결 (휘어진 나무를 켠 것)
* 큰 강도순
섬유방향의 인장강도 > 휨강도 > 섬유방향의 압축강도 > 섬유 직각방향의 압축강도 > 전단강도
* 수장용 목재의 요구 성능
1. 결, 무늬, 빛깔 등이 아름다워야 한다.
2. 변형(굽음, 비틀림, 수축 등)이 없을 것
3. 재질감이 우수할 것
4. 건조가 잘 된 것
* 목재 부식의 원인
1. 온도 2. 습도 3. 공기 4. 양분
* 목재저장
1. 직접 땅에 닿지 않게 저장한다.
2. 오염, 손상, 변색, 썩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저장한다.
3. 건조가 잘 되게 저장한다.
4. 습기가 차지 않도록 저장한다.
5. 흙, 먼지, 시멘트 가루 등이 묻지 않도록 저장한다.
6. 종류, 규격, 용도별로 저장한다.
* 목재의 유성방부제
1. 크레오소트 2. 콜타르 3. PCP 4. 유성페인트
* 목재 방부처리법
1. 도포법 2. 침지법 3. 상압주입법 4. 가압주입법 5. 생리적 주입법
* 목재 방화제
1. 인산암모늄 2. 황상암모늄 3. 규산나트륨 4. 탄산나트륨 5. 붕사
* 바심질 : 구멍뚫기, 홈파기, 면접기 및 대피질로 목재를 다듬은 일
* 마름질 : 목재를 크기에 따라 각 부재의 소요 길이로 잘라내는 일
* 목공사 시공순서
먹매김 > 건조처리 > 마름질 > 바심질
* 대패질 순서
막대패질 > 중대패질 > 마무리대패질
* 바심질 시공순서
먹매김 > 자르기와 이음, 맞춤 장부 등을 깍아내기 > 구멍파기, 홈파기, 대패질, 구멍파기 >
필요한 번호, 기호 등을 입면에 기입 > 세우기 순서대로 정리 > 세우기
* 이음 : 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맞춤 : 재와 서로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목재 접합시 주의 사항
1. 접합은 응력이 적은 곳에서 만들 것
2. 목재는 될 수 있는 한 적게 깎아내어 약하게 되지 않게 할 것
3. 접합의 단면은 응력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할 것
4. 공작이 간단한 것을 쓰고 모양에 치중하지 말 것
5. 응력이 균등하게 전달되게 할 것
* 듀벨 : 목재에서 두 재의 접합부에 끼워 볼트와 같이 써서 전단에 견디도록 한 보강철물
* 맞춤 : 재와 서로 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이음 : 재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
* 재의 길이방향으로 주재를 길게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를 이음이라고
하고, 재와 서로
직각으로 접합하는 것 또는 그 자리를 맞춤이라고 한다.
또, 재를 섬유방향과 평행으로 옆 대어 넓게 붙이는 것을 쪽매라
한다.
* 기둥과 층도리 - 장부빗턱맞춤
평보와 ㅅ자보 - 안장맞춤
토대와 멍에 - 주먹장부맞춤
창호의 맞춤 - 쌍장부맞춤
마구리가 보이지 않는 맞춤 - 연귀맞춤
* 엇빗이음 - 반자틀, 반자살대 등에 쓰인다.
걸침턱 - 지붕보와 도리, 층보와 장선 등의 맞춤에 쓰인다.
빗이음 - 서까래, 지붕널 등에 쓰인다.
* 목재의 연귀맞춤
1. 반연귀 2. 안촉연귀 3. 밖촉연귀 4. 사개연귀
* 빗쪽매 - 반자틀
오늬쪽매 - 흙막이 널말뚝
틈막이대쪽매 - 정두리판벽
제혀쪽매 - 마루널
* 목구조체의 횡력에 대한 변형, 이동 등을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 보강방법
1. 가새 2. 버팀대 3. 귀잡이보
* 공사현장에서 쓰이는 공구
1. 타카 : 압축공기를 빌려 망치 대신 사용하는 공구
2. 루터 : 목재의 몰딩이나 흠을 팔 때 쓰는 연장
* 건축에서 이용되는 목공구
1. 대패 2. 톱 3. 끌 4. 타카 5. 루터
* 목재의 연결철물
1. 못 2. 볼트 3. 듀벨 4. 띠쇠 5. 꺽쇠
* 볼트 : ㅅ자보와 평보
띠쇠 : 왕대공의 ㅅ자보
듀벨 : 평보의 맞춤시 전단력 보강용
감잡이쇠 : 평보와 왕대공
안장쇠 : 큰 보와 작은 보
* 목공사에서 둥근 못을 박는데 필요한 못의 길이는 널재 두께의 2.5 ~ 3
배이며
15˚ 정도 기울여 박는 것이 좋다.
* 합판 : 3매 이상의 얇은 나무판을 1매마다 섬유방향에 직교하도록 접착제로 겹쳐서 붙여놓은 것
섬유판 : 식물 섬유질을 주원료로 하여 이를 섬유화, 펄프화하여 접착제를 섞어 판으로 만든 것
파티클 보드 : 목재의 작은 조각 부스러기로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 제판한 보드
* 합판특징
1. 일반 판재에 비해 강도가 균질하며 나비가 큰 판을 얻을 수 있다.
2. 단판을 서로 직교하여 붙여서 잘 갈라지지 않는다.
3. 곡면판을 만들기가 쉽다.
4. 단판이 얇아서 건조가 빠르고 뒤틀림이 적다.
5. 값싸게 아름다운 무늬 합판을 얻을 수 있다.
* 집성목재의 장점
1. 큰 단면, 긴 부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.
2. 필요에 따라 아치와 같은 굽은 부재를 만들 수 있다.
3. 목재의 강도를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.
4. 응력에 따라 필요한 단면을 만들 수 있다.
* 2층 목조 건물의 뼈대 세우기
토대 > 1층 벽체 뼈대 > 2층 마루틀 > 2층 벽체 뼈대
* 목조 양식 구조는 깔도리 위에 지붕틀을 얹고 지붕틀의 평보 위에 얹고
깔도리와 같은 방향으로 처마도리를 걸쳐 댄다.
* 목재반자틀 시공순서
달대받이 > 반자돌림대 > 반자틀받이 > 반자틀 > 달대
* 보마루 : 일반적인 마루 구조로서 보를 걸고 그 위에 장선을 걸친 후 마루 널을 까는 방식이다.
홑마루 : 보를 쓰지 않고 층도리와 간 막이 도리에 장선을 약 45cm 간격으로 걸쳐대고 그 위에
마루 널을 까는 방식의 마루로서 간 사이가 적은 경우에 이용된다.
* 마루널 2중 깔기 시공순서
동바리 > 멍에 > 장선 > 밑창널 깔기 > 방수지 깔기 > 마루널 깔기
* 계단의 구성에서 계단이 있는 방을 계단실이라 하고, 게단의 한단의
바닥을 디딤바닥 또는
디딤면이라 하고, 수직면을 챌판이라 한다.
또 중간에 단이 없게 넓게 된 다리쉼과 돌림에 쓰이는 부분을 계단참이라
한다.
* 수장공사
1. 징두리판벽(wainscoting) : 벽의 하부에서 1.2m 정도의 높이에 판재 등을 붙인 벽
2. 양판(panel board) : 걸레받이와 두겁대 사이에 끼우는 넓고 길지 아니한 널판
3. 코펜하겐 리브(copenhagen rib) : 보통 두께 3cm, 넓이 10cm 정도의 긴 판에 표면을 여러가지
형태로 가공하여 강당, 극장, 집회장 등에
음향 조절 효과와
장식효과로 사용하는 것
* 현장에서 주문 목재 반입 검수시 가장 중요한 확인사항
1. 목재의 치수와 길이가 맞는지 확인한다.
2. 목재에 흠(굽음, 비틀림, 갈램)이 있는지 확인한다.
3. 주문한 수량과 수종이 맞는지 확인한다.
* 목조계단 설치 시공 순서
1층 멍에, 계단참, 2층 받이 보 > 계단옆판, 난간어미기둥 > 디딤판, 첼판 > 난간동자 > 난간두겁
댓글 없음:
댓글 쓰기